정치

"대통령 책임 무게 돌아봐"…이재명, 미 구금 韓근로자 300여명에 위로 편지

전서연 기자
입력

미국 조지아주 한국 기업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를 둘러싼 후폭풍과 이재명 대통령의 대응이 맞붙었다. 대통령이 직접 피해 근로자들에게 위로 서한을 보내면서, 재발 방지 대책과 대미 협의 방향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2일부터 24일까지 외교부를 통해 미국 이민 당국에 체포·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에게 위로 편지를 발송했다. 대상은 지난 9월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체포돼 구금 절차를 겪은 근로자들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편지에서 먼저 사건 당시의 공포와 고통을 언급하며 피해자들을 위로했다. 그는 "정말 고생 많으셨다는 위로 말씀 먼저 올린다"며 "머나먼 이국땅에서 얼마나 두렵고 외로운 시간을 견디셔야 했을지 감히 가늠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갑작스러운 소식에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내내 신경을 곤두세우느라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고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대통령은 협상 과정에서의 심경도 털어놨다. 그는 "협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받으면서도 부당한 일을 겪으며 불안과 두려움 속에 계실 여러분을 생각하니 쉽게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끝까지 희망을 놓지 않고 고된 시간을 버텨주셔서 진심으로 고맙다"고 적었다.

 

피해 근로자를 뒷바라지한 가족들에 대한 위로도 함께 담겼다. 이 대통령은 "애타는 기다림에 마음이 타들어 갔을 가족분들에게도 위로를 전한다"며 "정부의 대응을 믿고 의연하게 인내해 주신 점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다. 사건 처리 과정에서 정부 대응에 대한 신뢰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이 대통령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통령 역할과 책임을 다시 돌아보게 됐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번 일을 겪으며 대통령의 역할과 책임의 무게에 대해 다시금 돌아보게 됐다"고 말하고, "대한민국 국민이 세계 어디서나 정당한 권리를 침해받지 않고, 우리 기업이 안심하고 자유롭게 경제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외교적·제도적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재발 방지와 후속 조치 방향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요구하고 긴밀히 협의해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구금됐던 모든 분이 미국을 재방문할 때 아무런 불이익이 없도록 조처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혀, 개별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보호 조치를 약속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서한 발송이 사건 수습 이후 피해 근로자와 가족들의 정서적 불안을 달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정부 의지를 재확인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야권과 노동계 일각에서는 미국 이민 당국과의 사전 협의 미비 여부, 현지 노동·체류 제도와 국내 기업 운영 구조의 문제점 등을 둘러싸고 추가 점검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외교부와 법무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유사 사건 방지 대책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에서도 향후 외교통일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를 통해 사건 경과와 정부 대응을 점검하고, 해외 파견 근로자의 권익 보호 장치 보완 논의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미국조지아구금사건#한국인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