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O 파견 연장 논의”…정부, 동명·한빛부대 해외 임무 지속 추진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해외 파견 연장 여부를 두고 정부와 유관 기관이 다시 한 번 머리를 맞댔다. 외교부,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등이 지난 11일 정책협의회를 열고, 레바논·남수단 현지에서 임무 중인 동명부대와 한빛부대의 파견 연장 필요성에 뜻을 모았다. 파견 연장 문제는 국제사회 평화 기여와 주요국 요청이라는 두 축에서 정치적 온도가 높아지는 지점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회의 결과를 발표하며 “동명부대와 한빛부대는 유엔과 접수국 정부 모두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지 정세, 유엔 임무단의 중요성, 부대의 활동 성과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됐다”며, 파견 연장에 만장일치로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한 ‘UNIFIL 임무 2026년 말까지 연장 후 1년 내 철수’ 방침에 맞춰, 초점은 동명부대 철수 준비와 후속 절차 마련에도 맞춰졌다. 동명부대는 레바논 유엔 평화유지군 임무를, 한빛부대는 남수단 평화유지 임무를 각각 수행 중이다.
정치권에선 그간 PKO 파견이 한국 외교력, 국방 역량을 알리는 한편, 안정적 지역 질서 유지와 경제적 교류 강화의 발판이라는 긍정적 평가가 우세했다. 다만 예산 부담과 장기 파견에 대한 국내 우려도 존재한다. 이러한 찬반 논쟁 속에서, 외교부는 “파견 연장 동의안을 조속히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정치권 판단을 촉구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열악한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국가 위상을 높이고 있는 두 부대 장병들의 헌신에 깊이 감사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조만간 국회 동의를 요청할 예정인 만큼, 향후 본회의 논의 과정과 정치권의 논박이 PKO 파견 연장 문제의 새로운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