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중심 전력망 대전환”…이재명 대통령, 차세대 인프라 구축 직접 지시
기후위기와 전력인프라 개편을 둘러싼 논의가 대통령실을 중심으로 다시 불붙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망 재정비를 공식 주문하며, 정부 정책 기조에 전환점이 기대되고 있다. 최근 폭염·폭우 등 전지구적 기후현상의 심화와 AI 혁신 가속 속에, 에너지 전환 및 인프라 혁신을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앞으로 필연적으로 늘어나게 될 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전력망 인프라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기후 위기에 따른 폭염과 폭우를 겪고 있다. 이 같은 기후 위기는 전 지구적 현상이라 피할 수도 없다”고 언급한 뒤, “에너지 전환은 필수 과제가 됐다. AI(인공지능) 혁명까지 더해진 상황에서 전력망 개선을 통한 재생에너지 공급이 매우 시급해졌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장거리 송전의 비효율성을 낮추고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방안을 모색하라”고 관계부처에 지시했다. 아울러 에너지 고속도로 관련 “‘수도권 일극주의’로 불리는 불균형 성장 전략이라는 오해가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며, “에너지 고속도로란 서울로 가는 뻥 뚫린 길이 아니고, 대한민국 전국을 촘촘하게 연결하는 첨단 전력망을 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요즘엔 고속도로가 꼭 서울로 가지는 않는다. 오해가 없길 바란다”고도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에너지 고속도로 구상이 수도권 집중이라는 일부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에너지 고속도로는 신재생 클러스터가 밀집된 호남에서 생산된 전력을 고압직류송전으로 전국에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라며, 전국 인프라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임을 재차 시사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확대, 첨단 AI 기술 접목 등 에너지 산업 대전환을 공식화하며, 전력망 등 국가 기간시설 업그레이드에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부처는 다음달 중 구체적인 차세대 전력망 구축 방안을 대통령실에 보고할 예정이며, 본격적인 정책 추진이 빨라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