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통일정책, 반민족·반역사적”…김천식 통일연구원장 임기 8개월 남기고 사임
정부 통일정책을 둘러싼 신념 충돌이 통일연구원장 사임으로 이어졌다. 김천식 통일연구원장은 정부의 통일정책 기조와 견해 차이를 이유로 잔여 임기 약 8개월을 남기고 자진 퇴진했다. 연구기관장을 맡은 지 1년 4개월 만에 이뤄진 사임 배경을 두고 정치권 내 파장이 커지고 있다.
11일 통일연구원에 따르면, 이한주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이사장은 이날 김천식 원장의 사표를 12일자로 수리했다. 김천식 원장은 이날 연구원 내부망에 글을 올려 “저의 신념이 정부의 통일정책과 달라 원장직을 수행할 수 없었다”고 사임 의사를 밝혔다.

김 원장은 특히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남북 두 국가론을 주장하며 영구분단으로 정책을 전환하려는 것에 대해 반박할 수밖에 없었다”며, “이는 반민족, 반역사적이며 헌법에 위반된다”고 비판 강도를 높였다. 이어 “국책연구기관장으로서 정부에 정면으로 맞서는 행동을 거듭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라고 설명하며, 연구원의 피해를 우려해 사임을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김천식 원장은 이명박 정부에서 통일부 차관을 역임한 뒤, 2023년 7월 통일연구원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2026년 7월 19일까지였으나, 이번 사표 수리로 내년 7월까지의 임무를 마치지 못하게 됐다. 후임 인선 전까지는 현승수 부원장이 원장 직무대행을 맡는다.
한편 정부 통일정책을 두고 공개적으로 이견을 표출한 인사가 임기 중 자진 사임한 점은 국책연구기관 독립성 및 정책다원성 논의로도 확산되고 있다. 여권과 정부 측은 통일정책 추진 과정에서의 일관된 기조 유지를 중시하는 반면, 야권에서는 ‘다른 목소리’의 제도적 보장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치권은 김 원장 사임을 계기로 통일정책 방향에 대한 장·단기 논쟁이 재점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향후 국회와 관계 부처는 후임 연구원장 선임과 정책 논의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 수렴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