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산림 복원 땐 온실가스 목표 달성 여지 커져"…김남중, 남북 기후협력 구상 제시
기후위기 대응을 둘러싼 새로운 협력 구상이 통일부를 축으로 다시 제기됐다. 남북한이 각자 설정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두고, 북한 산림을 매개로 한 공동복원과 감축 실적 공유 방안이 공식 행사에서 거론되면서다.
김남중 통일부 차관은 2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한반도 기후환경협력 포럼 축사에서 남북 협력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과 평화 기반 확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축사는 통일부 평화교류실장이 대독했다.

김 차관은 유엔기후변화협약과 파리협정의 당사국인 남북이 각각 제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스스로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 산림 복원을 남북이 함께 추진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배분하는 방식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그는 우리 정부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53∼61%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내놓았고, 북한은 2030년까지 최대 52.4%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상기시켰다. 이어 남북 산림 공동복원과 감축 실적 공유를 통해 양측 모두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여지를 넓힐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차관은 "기후환경협력은 실용과 필요에 의한 협력"이라고 규정하며, 남북이 공동의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상호 신뢰를 쌓고 평화의 기반을 넓히는 선순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후 분야가 정치·군사 현안을 둘러싼 갈등과는 달리 실질적 이해가 맞닿은 영역이라는 점을 부각한 셈이다.
그는 또 "국제기구·지방자치단체·민간단체와 지속해서 소통하며 한반도기후환경협력 거버넌스 구축도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남북 양자 협력을 넘어 국제기구와 지방정부,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다층적 협력 틀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날 포럼을 계기로 정부가 남북 기후·환경 협력 어젠다를 다시 전면에 내세우면서, 향후 통일부와 관계 부처가 국제사회와 공조해 세부 협력 모델을 구체화할지 주목된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라 기후협력 구상이 실제 남북 대화 의제로 발전할 수 있을지에 시선을 두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