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창원 도심 미군 사격장 공사 재개 논란”…시민단체, 이전·현장실사 촉구
정치

“창원 도심 미군 사격장 공사 재개 논란”…시민단체, 이전·현장실사 촉구

윤찬우 기자
입력

경남 창원 도심의 팔용산 주한미군 사격장에서 최근 정비공사가 다시 진행되며, 지역 사회의 이전 요구가 재점화됐다. 시민단체와 관할 지방자치단체 사이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시민 불안감과 군 시설 존치의 타당성 논란이 첨예하게 맞붙었다.

 

‘주한미군 전용 사격장 건설중단 및 폐쇄 창원시민대책위’와 ‘평화주권행동 경남평화너머’는 8월 27일 창원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 제보 등에 따르면 의창구 팔용산 주한미군 사격장에서 실제로 배수로 등 정비공사가 진행되고 있다”며, “민관 공동 현장실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주한미군 측에 “사격장 이전의 구체적 계획을 주민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실제 팔용산 주한미군 사격장 존재는 2023년에 처음 공식 확인되며 지역민의 공분을 샀다. 당시 대규모 벌목과 공사로 산 중턱이 훼손됐고, 이후 소음·안전 등 생활 피해 우려 민원이 쏟아졌다. 이에 미군 당국은 국방부와 협의해 기존 사격장 개선공사 일시 중단을 결정했으며, 창원시와 협의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후에도 해당 부지 일대에 4천500세대가 넘는 아파트 단지와 상업시설, 병원 등이 밀집하고, 반경 1.5킬로미터 안에 10만 명이 거주하는 상황이 되면서 이전을 요구하는 여론은 한층 거세졌다. 시민단체는 지난 26일에도 현장 설명과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창원시는 지난 14일 팔용산 주한미군 사격장 현장 점검 결과 공사 흔적은 없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관계기관 협조 아래 현장 동향을 계속 주시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시 관계자는 “육군 제9탄약창이 인근 부지에서 철책 설치 공사를 진행 중으로 파악된다”며, “도심 내 주한미군 사격장을 둘러싼 시민 우려를 관계기관에 꾸준히 전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창원 도심 미군 사격장 문제는 도시 팽창과 시민 안전, 주거권 등과 맞물려 지역 갈등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시와 시민단체, 군 당국 간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가 향후 사격장 이전 및 대안 모색에 본격 나설지 주목된다.

윤찬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창원시#주한미군사격장#시민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