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프 원전 협력 기반 구축”…이재명·에르도안, 한‑튀르키예 MOU로 에너지·인프라 확대
원자력발전 협력과 인프라 사업을 둘러싼 이해관계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맞붙었다. 에너지 안보와 경제 협력을 동시에 겨냥한 양국 정상의 선택이 향후 시노프 원전 수주 경쟁과 중동·유럽을 잇는 인프라 구도에 어떤 파장을 낳을지 주목된다.
한국과 튀르키예는 24일 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원자력 협력 양해각서 1건과 보훈 협력, 도로 인프라 협력 양해각서 등 총 3건의 MOU를 체결했다고 대통령실이 25일 전했다.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에너지·보훈·인프라 전방위 협력을 논의하며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를 도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튀르키예 시노프 지역 원자력발전소 건설 추진과 연계된 원전 협력이다. 튀르키예가 시노프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가운데 한국이 유력 협상국으로 거론되는 상황에서, 양국이 서명한 원자력 협력 MOU가 향후 본 사업 수주를 겨냥한 교두보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한국전력과 튀르키예전력공사가 체결한 MOU에는 원자로 기술, 원전 부지평가, 규제·인허가, 금융 및 사업 모델, 원전 프로젝트 이행 등 전 주기에 걸친 협력 내용이 담겼다. 양측은 이를 실행하기 위해 공동워킹그룹을 구성하는 방안도 MOU에 포함해 실무 논의를 정례화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별도 설명자료에서 “원전 부지평가 등 초기 단계부터 한국이 참여할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향후 사업 수주까지 이어질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원전 산업 특성상 초기 부지조사와 인허가 협력 경험이 우선 협상 지위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시노프 원전 입찰 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양국은 안보와 역사 협력 차원의 보훈 분야 MOU도 체결했다. 보훈 협력에 관한 MOU에는 튀르키예의 한국전 참전 용사 예우를 강화하고 후손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국 국가보훈부와 튀르키예 가족사회부는 정례적 교류를 추진해 참전 유공자 지원정책과 보훈 문화 확산 사례를 공유하기로 했다.
도로 인프라 협력도 본격화한다. 한국도로공사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KIND는 튀르키예 도로청과 도로 인프라 분야에 관한 협력 MOU에 서명했다. 세 기관은 도로 건설 프로젝트를 공동 발굴하고, 사업 추진 과정에서 기술·금융·사업관리 협력 범위를 넓혀가기로 합의했다.
대통령실은 “튀르키예 도로청이 발주할 대규모 도로 건설 사업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건설사와 인프라 개발 기관이 튀르키예를 교두보로 삼아 중동·유럽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도 이어진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한‑튀르키예 협력이 원전·인프라 수주 경쟁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의 후속 외교와 금융지원 체계가 중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시노프 원전 사업은 고부가가치 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한전과 국내 원전 생태계 전반에 미칠 파급력이 크다는 점에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날 양국이 체결한 MOU가 구속력 있는 계약은 아니지만, 정부와 공기업 차원의 협력 약속이 공식화된 만큼 향후 실무협상이 속도를 낼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정부는 튀르키예와의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원전·교통 인프라 등 전략 분야 해외 진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