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모빌리티 거점 될 것"…김민석 총리, 기아 오토랜드 찾아 지원 약속
정책 전환기를 맞은 자동차 산업을 두고 정부와 산업계가 맞붙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광주를 찾아 모빌리티 전략 거점으로 띄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면서, 지역 산업 생태계와 통상 환경을 둘러싼 논의가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자료의 날짜에 따르면 김민석 국무총리는 2025년 11월 26일 광주광역시 기아 오토랜드 광주 공장을 방문해 광주와 호남권 자동차 산업의 미래 전략을 점검하고 정부 지원 방향을 밝혔다. 그는 제조업 구조 전환과 통상 환경 변화가 겹친 상황에서 광주 자동차 산업이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현장 간담회에서 "광주는 특별히 앞으로도 모빌리티 부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대한민국의 거점 도시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기아를 비롯한 국내 자동차 기업들이 글로벌 모빌리티를 선도하기를 바라면서 특별히 우리 광주가 그 맨 앞장에 서 계시기를 기원한다"고 밝혀 광주를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선도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광주의 역사적 정체성과 산업 비전을 함께 언급했다. 김 총리는 "이제 대한민국도, 특히 광주도 민주주의를 넘어 자연스러운 삶을 꽃피워야 한다"며 "기아 공장이 광주, 전남, 호남 지역의 삶과 경제의 미래를 대표적으로 상징한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찾았다"고 설명했다. 광주 민주화의 도시에서 미래 산업 수도로의 도약을 주문한 셈이다.
김 총리는 자동차 산업이 국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짚으며 부품 생태계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자동차 산업이 한국 제조업 고용과 생산의 첫 번째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전제한 뒤 "앞으로 호남의 자동차 산업 미래를 위해서는 일종의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풍성하게 하는 것, 부품 기업의 경쟁력 강화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완성차 중심 구조를 넘어 지역 부품 업체 전반의 역량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인식이 담긴 대목이다.
정부 차원의 구체적 지원 방향도 밝혔다. 김 총리는 "정부가 부품 생태계에 인공지능을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 하는 문제, 미래차 부품 중심으로의 전환 문제, 탄소 중립 기술 개발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제조, 전기차·자율주행차 핵심 부품, 친환경 공정 등에서 정책·재정 지원이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뒤따랐다.
대외 통상 환경과 관련해 그는 한미 간 자동차 통상 현안을 언급했다. 김 총리는 "한미 무역협상 팩트시트가 잘 마무리됐지만 현실적으로 자동차를 수출하기 어려운 것은 그대로여서 앞으로도 정부와 기업이 잘 머리를 맞대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형식상 협상은 정리됐지만, 실제 수출 여건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는 인식을 공유하며 정부와 업계의 지속적인 공조를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장 근로자와 지역 산업계에 대한 감사 인사도 이어졌다. 김 총리는 공장 관계자들을 향해 "호남 지역 자동차 사업을 이끌어주신 데에 대해 특별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며 "일자리를 창출하고, 광주 시민들에 있어 큰 버팀목이자 기대가 돼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지역 고용과 경제를 떠받쳐 온 공장의 역할을 재확인하면서, 향후 지원 정책의 명분을 덧붙인 셈이다.
정부와 정치권 안팎에서는 광주 기아 오토랜드 방문을 두고 지역 균형발전과 산업전환 전략을 결합한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이 내연기관에서 미래차로 급속히 이동하는 가운데, 광주와 호남권 부품 기업이 전환에 성공하느냐가 지역 경제의 향배를 좌우할 수 있어서다.
김 총리는 공장 시찰 이후 지역 시장 등 민생 현장을 연이어 방문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논의한 부품 생태계 강화와 미래차 전환, 통상 대응 과제를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구체적 정책으로 잇겠다는 방침이며, 국회도 관련 예산과 입법 과제를 다음 회기에서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