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관세 부담 결국 소비자가 떠안았다”…미국 트럼프 행정부, 무역장벽 정책에 세계 경제 충격

서현우 기자
입력

현지시각 16일, 미국(USA)에서 발표된 국제 신용평가사 S&P 글로벌(S&P Global)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정책으로 인해 올해 전 세계 기업들이 떠안게 될 추가 비용이 1조2천억달러(한화 약 1천70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글로벌 공급망과 무역 흐름 전반에 파장을 일으키며, 부담의 상당 부분이 사실상 소비자 물가에 반영될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이 국제 시장에 구조적 변화를 주고 있다는 평이 나온다.

 

보고서는 S&P가 9천개 기업에서 활동 중인 1만5천 명의 애널리스트 자료를 토대로 작성됐다. 트럼프의 대규모 관세‧무역장벽 강화 조치로 인해, 기업 자금이 관세 명목으로 정부에 흘러가고 물류 지연‧운송비까지 상승해 기업 부담이 글로벌 전반으로 확산됐다는 설명이다. 관세 비용의 주요 원인에는 지난 5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China), 홍콩(Hong Kong)발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전면 중단한 조치가 있었다. 이후 8월부터는 전 국가로 확대돼 소액 소포 면세가 사라졌고, 해운업과 기업 실적 지표에서 충격파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관세 여파, 세계 기업 부담 1천700조원…결국 소비자가 떠안았다 / 연합뉴스
트럼프 관세 여파, 세계 기업 부담 1천700조원…결국 소비자가 떠안았다 / 연합뉴스

S&P 글로벌의 대니얼 샌드버그 애널리스트는 “관세와 무역 규제가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세금처럼 작용하고 있다”며, “면세 조치 종료 직후 해운 데이터와 기업 실적 보고서 전반에 충격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관세 인상 이후 물류비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수출입 비용 전체가 급등했으며, 이로 인한 부담은 세계 소비자 시장에서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주요 품목인 자동차, 철강, 목재 등에도 10% 기본관세를 포함해 국가별 상호관세가 지난 8월 7일부터 본격 적용됐다. 트럼프 전 행정부는 “관세 부담은 외국 수출업체에 전가될 것”이라는 점을 일관되게 주장했다. 이에 대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미국인들이 일시적으로 과도기를 겪을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 관세 비용은 해외 수출업체가 부담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S&P 글로벌은 보고서에서 관세의 약 3분의 2는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기업은 3분의 1 수준만 직접 부담한다고 집계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 실질 구매력이 약화되고 물가 상승 압력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와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 등 국제 주요 매체들도 이번 사안이 “글로벌 공급망 충격의 분기점”, “관세를 둘러싼 정책 실패의 민낯”이라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장벽 강화 조치가 ‘해외업체를 겨냥한 세금’이라는 명분과 달리, 글로벌 소비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증폭시키고 있음을 지적한다. 공급망 재편과 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관세 체계 장기화가 세계 경제의 비용구조를 왜곡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관세 정책의 실질적 효과와 향후 글로벌 시장 영향력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서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s&p글로벌#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