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신약후보물질 찾는다”…조아제약, 바둑 인재육성 넘어 바이오 경쟁 주목
AI와 바이오 기술의 접목이 제약 산업 패러다임을 뒤바꾸고 있다. 조아제약이 주최하는 루키바둑대회에서 신예 선수 육성을 지원하는 동시에, 최근엔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탐색 플랫폼 도입에 나서 주목받는다. 업계는 AI 기반 연구개발 플랫폼이 신약개발 경쟁의 전환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조아제약은 한국기원과 함께 지난달 루키바둑 영웅전을 개최하며 인재 양성을 통한 스포츠 저변 확대에도 힘을 쏟고 있다. 기업 측은 AI 알고리즘 기반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시스템을 연구개발(R&D)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신약개발 방식은 후보물질 발굴과 선별 과정에만 수년이 소요됐다. 반면, AI 기반 모델을 도입하면 수십억 분자 구조를 가상 스크리닝(Virtual Screening)해 효능·안전성 가능성을 예측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실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뿐 아니라, 분석 정확도도 기존 대비 2배 이상 향상됐다는 것이 조아제약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 바이오 벤처들과의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도 추진 중이다.
이런 변화는 병원·제약사·정부 협업 구조 강화와 맞물려 국내외 바이오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선 이미 대형 제약사들이 AI 파이프라인을 도입해 연구 속도를 높이고 있다. 조아제약도 글로벌 경쟁사와의 협업 및 데이터 교류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AI 신약개발 도입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FDA 포함) 등 규제기관도 임상시험 자료 내 AI 기반 예측값 활용을 점진적으로 검토 중이다. 데이터 신뢰성 검증, 윤리적 활용 등 후속 기준 마련이 산업 발전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도입이 산업 구조 변화를 가속할 것”으로 분석하며, “기술 속도와 더불어 제도·윤리 기준 정립 속도도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산업계는 신기술이 실제 시장 혁신에 안착할지, 향후 헬스케어와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로의 파급력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