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정부 대표로서 사과”…정동영 통일부 장관, 재가동 의지 밝혀
개성공단 폐쇄를 둘러싼 정부 책임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통일부 장관으로 복귀한 정동영 장관이 31일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단과의 면담에서 정부 대표로서 공식 사과와 함께 재가동 의지를 천명하면서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됐다. 정 장관은 “개성이 다시 열리는 날 한반도의 운명은 다시 달라지게 될 것”이라며 “개성공단이 닫히고 나서 피해를 입은 기업에 정부 대표의 한 사람으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정동영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열린 회동에서 “개성이 닫히고 기업이 피해를 입은 것은 전적으로 정부가 책임을 다 못한 것”이라며 “기업 대표들의 잘못은 하나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성이 열려 있었으면 지금 한반도 상황이 이렇게 안 됐을 것”이라면서 “개성이 닫힌 뒤 평화의 혈관도 멈췄다”고 평가했다.

정 장관은 개성공단 폐쇄 결정을 내린 지난 보수 정권을 겨냥해 “못난 정치, 어리석은 정치였다”고 비판을 더했다. “20년 전 개성공단의 꿈은 좌절을 겪었지만, 다시 그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첫걸음을 내딛기를 바란다”는 당부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단은 정 장관의 재가동 추진에 환영의 뜻을 보냈다. 기업인들은 “정부 고위 당국자가 폐쇄에 대한 공식 사과를 한 것은 처음”이라며 “개성공단을 열었던 정동영 장관이 다시 임명된 만큼 재개에 대한 희망이 커진다”고 평가했다고 통일부가 전했다.
한편, 개성공단은 2000년 현대아산과 북측 아태평화위 간 합의로 조성됐으며, 정동영 장관이 2004~2005년 노무현 정부 당시 통일부장관으로 사업을 이끌었다. 그러나 2016년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를 이유로 박근혜 정부에서 전면 중단됐고, 2020년 6월 북한이 공동연락사무소와 지원센터 시설까지 폭파하며 남북 경협의 상징이 붕괴된 상태다.
정 장관은 이날 시민단체 자주통일평화연대와도 별도 면담을 갖고 통일정책의 방향을 설명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정 장관의 공식 사과와 재가동 발언을 계기로 남북 교류협력 정상화 논의가 다시 활기를 띨지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북한 측의 입장과 추가 논의 동향을 주시하며 개성공단 재개 방안을 계속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