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 성황”…포스코홀딩스, 미래 인재 양성에 박차
포스코홀딩스가 산업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를 개최하며 미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9일 열린 시상식에는 전국 32개 대학, 84개 팀이 참가해 첨단 AI와 로봇 기술로 혁신적 해법을 선보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국내 제조업이 디지털 전환과 인력 확보의 이중과제에 직면한 만큼, 이번 행사가 산업계 전반에 긍정적 신호를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5월 26일부터 산업용 AI-로봇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전국 32개 대학에서 총 84개 팀이 도전장을 내밀었고, 최종 본선에는 7개 팀이 진출했다. 본선 과제는 다관절 협동로봇 챌린지와 4족 로봇 자율 보행 챌린지로 나뉘었으며, 실제 제철소 환경을 재현한 현장감 높은 미션이 주어졌다.

산업계와 교육계에서는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재 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포스코홀딩스의 이번 대회가 미래 산학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제조업 현장의 자동화, 안전, 효율성 등 실질적 문제 해법을 위한 기술 접목 사례가 늘어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AI와 로봇을 활용한 실전형 교육이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제조업 경쟁력 회복과 청년 인재 성장 사이의 선순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기수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장(CTO)은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분야에 AI와 로봇 기술을 적극 도입해 제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인재 양성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산업 AI, 로봇 등 첨단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 정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를 비롯한 대기업의 산학 협력 프로그램 비중이 늘면서, ‘실전형 기술 인재’ 공급 체계에 변화가 예상된다. 한편, 수상팀에는 포스코그룹 회장상과 총 4,000만원 상당의 상금, 전문가 멘토링과 관련 워크숍 참가 기회가 제공됐다.
과거에도 제조업 대기업이 주도한 오픈 이노베이션·경진대회는 기술 경쟁력 제고와 신진 인재 발굴에 기여해 왔다. 올해 대회는 참가 대학과 규모가 꾸준히 확대된 가운데 제조업 혁신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책 기조에도 부합했다는 분석이 있다.
업계에서는 디지털 전환과 현장 전문성 강화라는 과제가 맞물린 상황에서, 대기업과 대학의 연계 행사가 산업계 인력 미스매치 해소에 기여할지 주목하고 있다. 향후 정책 방향은 산업 기술교육 체계 혁신 및 민간 주도 인재 양성이 핵심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