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감사원, 前정부 잘못 운영 책임 묻겠다"…정상우 신임 사무총장, 조직 신뢰 회복 촉구
정치

"감사원, 前정부 잘못 운영 책임 묻겠다"…정상우 신임 사무총장, 조직 신뢰 회복 촉구

문수빈 기자
입력

정치적 충돌의 중심에 감사원과 정상우 신임 사무총장이 다시 한 번 섰다. 이전 정부에서의 감사 운영 방식에 대한 정면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 사무총장은 10일 서울 종로구 감사원 취임식에서 “지난 정부서 잘못된 감사 운영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밝혔다. 감사원이 권력 감시 역할을 저버렸다는 비판과 더불어, 조직 회복과 국민 신뢰 재건이라는 이중 과제가 부각되고 있다.

 

취임사에서 정상우 사무총장은 “우리 감사원이 지난 정부에서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잃었다”며 “권력에 감시 받는 기관이 아닌, 권력에 춤추는 조직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감사원의 정상화를 위해 TF를 설치할 것”이라며, 과거 운영 상 문제점을 규명하고 불합리한 행위에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정 사무총장은 “감사가 두려워 일하지 않게 만드는 풍토를 반드시 바꾸겠다”며, “공직사회를 위축시키는 정책결정 감사는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대신 “국민 안전을 높이고 기업 활동에 도움이 되는 감사, 제도 개선을 위한 감사에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 처리와 관련해 “감사실시 여부는 감사원이 독단적으로 정하지 않고, 외부 인사 과반이 참여하는 감사개시심의위원회를 구성해 심의를 거치도록 제도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국민적 관심과 정치적 사안에 있어서 감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한층 더 강화될 전망이다.

 

정 사무총장은 또한 “국회에 감사원 사무소를 설치하고, 연간 감사계획 수립 시 국회와 충분히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확정되지 않은 감사 결과로 수사 의뢰를 남발하지 않겠다”는 방침도 덧붙였다.

 

한편, 공직사회의 적극 행정을 유도하기 위해 사전 컨설팅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공직자들이 감사에 대한 두려움 없이 혁신적 정책 추진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감사원은 이번 정상우 사무총장 취임을 계기로 내부 개혁과 공정한 감사 집행이라는 양대 과제를 동시에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감사원은 TF 설치와 제도 개선, 국회와의 협의 등 조직 혁신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상우#감사원#정상화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