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우주탐사 모빌리티 산업 키운다”…우주청, 기업 의견 청취로 시장 본격화

한채린 기자
입력

우주탐사 모빌리티 산업이 국내 우주항공 분야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주항공청은 11일 대전 라마다 호텔에서 ‘우주탐사 모빌리티 산업체 간담회’를 개최해 기업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달·화성 탐사 관련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우주용 이동체 개발에 관심을 갖는 주요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정부와 직접 소통하며 기술 현황과 개발 계획, 민관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 자리였다. 업계는 “국내 민간 회사 참여 확대가 글로벌 우주 경쟁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우주청이 제시한 중장기 로드맵에 따르면, 2032년 달 착륙선 발사와 2040년대 달 경제기지 구축, 2045년 화성 착륙선 발사가 목표다. 정부는 국제 협력 프로젝트에 국내 기업의 우주탐사 모빌리티 기술을 적극 투입해, 자체 개발 역량을 현장에서 검증하고 실질적 사업화 기회까지 연계할 방침이다. 특히 달과 화성 지형을 자율적으로 주행하거나 탐사할 수 있는 신형 모빌리티 플랫폼은 센서 융합, 내환경 소재, AI 기반 항법 등 다양한 첨단 IT·바이오 융합 기술이 집약되는 영역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산업계는 “우주탐사 모빌리티 부품 국산화와 데이터 연계, 시제품 테스트를 위한 공공 인프라 확장이 시급하다”고 건의했다. 과거에는 대형 항공우주 기업 위주로 연구가 진행됐으나, 지난해부터 스타트업과 중소기업까지 진입 장벽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는 이미 민간기업 주도의 로버 개발과 유인·무인 착륙선 상용화 경쟁이 시작된 상태다. 경쟁국들은 정부-기업-대학교 간 연계로 실증 실험과 국제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확대하며 기술 고도화 속도를 높이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우주항공청이 모빌리티 연구개발(R&D), 기술 인증, 실증 환경 제공, 데이터 교류 등 후속 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다. 향후 식약처, 과기정통부 등과의 협업을 통한 우주용 소재 인증, 인공위성·착륙선 데이터 표준화 등도 논의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국산 우주탐사 모빌리티 상용화와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는 규제 완화, 국제 표준화, 연구 투자 확대가 관건”이라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업 의견 수렴이 산업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플랫폼, 소재, AI, 센서 등 융합 기술의 현장 실증과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새로운 우주경제 성장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주청#우주탐사모빌리티#달화성착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