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인간극장 황토집에 스민 이별의 눈물”…신혼부부와 노부부, 두 달의 동거→마지막 인사
엔터

“인간극장 황토집에 스민 이별의 눈물”…신혼부부와 노부부, 두 달의 동거→마지막 인사

전서연 기자
입력

황토집의 따스한 기운이 감도는 곳에서 신혼 2년 차 준연 씨와 민주 씨, 그리고 노부부 금자 할머니와 동인 할아버지가 만났다. 평범함 속 고요함이 번지는 시골집 마당 아래, 서로 낯선 네 사람의 조심스러운 하루가 시작됐다. 젊은 신혼부부는 전국을 누비며 찾은 여주의 이 집에서 새로운 삶을 꿈꿨고, 한편 노부부에게는 지난 세월의 무게와 기억이 묻어 있었다. 

 

처음엔 서로의 온도차에 낯설어하던 네 사람은 함께 밥상을 차리고, 텃밭의 흙을 나누며 점차 진정한 온기를 쌓아가게 된다. 어릴 적 부모님의 이혼으로 마음의 빈자리를 안고 자란 민주 씨에게 금자 할머니는 모성의 따뜻함을 다시 불어넣어 준 존재였다. 서투른 농담과 소박한 손맛, 한 그릇의 밥이 오가며 가족이라는 이름도 없이 한집의 식구가 돼 갔다. 그러나 피와 이름, 나이와 환경이 모두 다른 이 특별한 동거는 쉽지만은 않은 숙제임을 시간이 거듭될수록 깨닫게 된다.

“문패가 지운 시간의 무게”…‘인간극장’ 신혼부부-노부부, 두 달 동거→이별의 눈물
“문패가 지운 시간의 무게”…‘인간극장’ 신혼부부-노부부, 두 달 동거→이별의 눈물

동거의 절반 무렵, 집의 소유권이 신혼부부에게 넘어가는 예기치 않은 사건이 일어난다. 기분에 들뜬 준연 씨가 무심코 현관문에서 기존의 문패를 떼어내는 순간, 긴 시간 직접 집을 지키며 써왔던 동인 할아버지의 세월 또한 아스라히 내려앉는다. 작은 목재 조각 하나에 담긴 15년의 기억은 노부부와 신혼부부의 시선을 한곳으로 모으고, 잠시 동안 숨죽인 정적이 집안을 감싼다. 하지만 노부부는 떠날 준비를 하면서도 새 주인을 위한 세세한 비법과 정을 아끼지 않는다. 파 심고, 매실액 저며내는 법을 자상하게 전하는 손길, 그 가운데 물드는 담장의 색이 동거의 초록빛 추억이 돼간다.

 

이사날이 다가오자 서로의 마음은 점점 미묘해진다. 금자 할머니와 동인 할아버지는 오래 머문 흔적을 정리하며 눈물을 훔치고, 신혼부부 역시 미안한 마음과 복합적인 감정에 젖는다. 헤어짐의 아침, 네 사람은 같은 마당 위에서 마지막 인사를 나눈다. 전혀 다른 세월, 다른 이름이 머물던 황토집은 하루아침에 가족이 되는 기적을 보여주며, 이별 뒤에도 각자의 가슴에 따뜻한 울림을 남긴다.

 

사람을 품은 집, 그리고 집에 남은 사람이란 주제를 서정적으로 풀어낸 ‘인간극장’ 어쩌다 동거 편은, 집이 단지 거주 공간을 넘어 삶의 흔적과 이력을 남긴다는 진심을 전한다. 오는 8월 29일 금요일 오전 7시 50분, 황토집에 스며든 마지막 장면이 시청자들 앞에 펼쳐질 예정이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인간극장#신혼부부#노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