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민관학 소통협의체 출범”…식약처, 의약외품 정책 혁신 본격화
IT/바이오

“민관학 소통협의체 출범”…식약처, 의약외품 정책 혁신 본격화

조현우 기자
입력

의약외품 안전관리와 산업의 성장 전략에 민관학계가 힘을 모으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9일 ‘의약외품 정책·과학 소통 협의체’를 공식 출범시켰다. 협의체는 업계·학계·소비자단체 전문가들이 참여해, 의약외품 정책의 체계적 발전과 신뢰성 강화를 목표로 한다. 업계는 이번 움직임을 ‘의약외품 산업경쟁력 도약의 시발점’으로 보고 있다.

 

협의체 첫 회의에는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한국사회약학회, 한국법제연구원,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한국소비자원 등 각 분야 대표 전문가가 참석해 시장현황과 정책 동향을 공유했다. 주요 의제는 의약외품 범위지정 확대체계 마련과 제품 허가(신고) 제도, 표시·광고, 제조·품질관리 기준(GMP) 등 실질적 제도 혁신 방안에 대한 토론이었다.

의약외품은 일반의약품과 달리 생활밀착형 건강제품에 해당하는 비처방 의약품을 뜻한다. 안전과 품질관리뿐 아니라, 신기술 접목과 신속한 시장 반영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식약처는 현장 목소리와 과학적 검증을 연계한 소통 메커니즘을 통해, 산업화와 시민안전의 접점을 찾는 정책 추진을 강조했다.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은 “논의 결과가 의약외품 안전·산업 활성화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협의체는 과학소통(검증된 데이터와 증거에 기반한 정보 생산-공유-수용 구조)을 정책 협력에 정식 도입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이는 단순 행정 주도가 아닌 민·관·학 전 주체의 의견 수렴 및 사회적 신뢰 확보로 이어질 전망이다. 김연숙 소비자공익네트워크 부회장은 “산업 발전과 소비자 안전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안에 공감한다”며, “특정 입장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의료·바이오 분야의 민관학 정책거버넌스가 성장 동력으로 부상 중이다. 해외 주요국은 안전·품질·소비자 보호에 기반한 산업 활성화 전략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국내 역시 응용연구,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다기관 협업 등 혁신 촉진형 정책 설계가 확산될 여지가 크다.

 

향후 협의체는 각 분야에서 제출된 발전 방향을 식약처 정책에 반영, 제도 효율성과 시장 신뢰도를 동시에 높이는 결과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업계는 이번 소통협의체의 실제 시장 적용과 제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외품#정책협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