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사고 이후 비상체제”…코레일, 현장 안전 강화 및 외부 진단 착수
최근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 사고를 계기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현장 중심의 비상안전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코레일은 8월 25일 대전 본사에서 ‘철도 안전 재확립을 위한 비상안전경영회의’를 개최하고, 사고 조사 결과 발표 전까지 현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긴급 대책을 즉각 시행한다고 밝혔다.
코레일에 따르면 전국 전체 철도 현장에 대해 작업자가 직접 참여하는 수시 위험성 평가가 즉시 추진된다. 다음 달에는 위험 수준을 재분석해 추가 위험 요인을 선제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이번 대책의 특징은 기존 일상 작업뿐 아니라 선로 인근 위험지역에서의 상례 작업까지 평가 범위를 확대하고, 외부 작업자가 수행하는 공정의 관리적 위험도 함께 점검하는 점이다.

사고 위험이 높은 대구지역을 포함해 서울·수도권, 대전충남, 부산경남본부 등 열차 운행이 많은 지역에서는 오는 10월 말까지 외부 전문기관이 참여하는 안전보건진단이 시행된다. 이후 전국 철도 현장으로 진단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다.
이번 현장 안전 강화와 병행해 코레일은 선로, 전차선, 신호, 운행계획 등 각 분야의 외부 전문가를 초청해 사고 원인 분석과 함께 근본적 재발 방지대책 마련 논의에도 착수했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현장의 목소리와 외부 전문기관 의견을 함께 반영해 철도 안전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겠다”며 “모두가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철도 환경 구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코레일은 향후 추가 안전관리 지침 발표 등 후속 조치에도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정책 방향은 사고 조사 결과와 철도 안전지표 개선 여부에 따라 정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