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봇 현장 적용 맡는다”…LG CNS, 휴머노이드 서비스 본격화
AI·로봇 융합 기술이 산업 현장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LG CNS는 최근 로봇 현장 적용과 운영을 전담하는 ‘피지컬 AI’ 전략을 선보이며, 휴머노이드 등 AI 로봇의 실질적 업무 투입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 스킬드AI와의 협력을 통해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기반 산업용 로봇 서비스 개발에 나서면서, 글로벌 RX(Robot Transformation) 사업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업계는 이번 행보를 ‘AI 로봇 현장 자동화’의 분기점으로 본다.
25일 현신균 LG CNS 대표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AX 미디어데이를 통해 “하드웨어 제작, 고도 학습을 담당하는 RFM(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사, 그리고 현장 적용을 맡는 LG CNS가 협력해 피지컬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LG CNS는 실제 로봇이 산업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OJT(현장훈련), 배치, 운영·유지관리 전반에 걸친 적용 업무를 담당한다.

이번 전략의 핵심은 미국의 AI 로봇 기업 스킬드AI와의 협력에 있다. 스킬드AI의 RFM은 이미지, 텍스트,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해 로봇이 스스로 환경을 인식하고 물체를 조작하는 AI 기반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도록 지원한다. 이 기술은 단순 동작 수준을 넘어서, 복잡한 작업·상황에 대한 자율적 조정력까지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로봇 지능 대비 월등한 범용성과 확장성을 보유한다.
LG CNS는 스킬드AI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활용한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을 개발 완료 후, 제조 분야 고객사를 대상으로 개념검증(PoC)을 진행 중이다. 앞으로 스마트팩토리, 물류, 스마트시티 등 실제 사업 현장 전반에 ‘AI 휴머노이드 로봇 통합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 서비스는 로봇 제어·관리·운영 통합 플랫폼, 스마트팩토리·물류 솔루션과 더불어 여러 로봇 제조사와의 하드웨어 협력도 포함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AI 기반 로봇 경쟁이 크게 확산되는 가운데, LG CNS는 스킬드AI·앤스로픽 등 다양한 AI 기업과 전략적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글로벌 AI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2035년 380억달러(53조원)로 연평균 50% 이상 고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발맞춰 LG CNS는 추가 협력 및 인수합병(M&A) 가능성 역시 열어두고 있다. 홍진헌 전략담당 상무는 “AI, 글로벌, RX 중심으로 투자·M&A를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로봇 관련 규제·정책 측면에서도 로봇 데이터 관리, 현장 적용 인증 등 새로운 쟁점이 대두되고 있다. 하드웨어-소프트웨어-현장 오퍼레이션 협력이 강화되면서, 실제 지속 가능한 로봇 서비스 구현을 위한 표준, 인증 체계 논의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로봇의 실전 상용화가 산업 구조 혁신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며 “기술 적응력, 데이터 윤리, 글로벌 규제 대응이 중요 과제로 부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