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해도 찢고 신항로 개척”…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로 복귀
정치적 책임론과 개혁 요구가 맞부딪친 전국당원대회에서 조국혁신당을 창당 단계부터 이끌어온 조국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다시 전면에 섰다. 당 안팎에서 차기 진로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당원들은 압도적인 지지로 조국 체제를 재가동했다.
조국혁신당은 23일 충북 청주 오스코에서 2025 전국당원대회를 열고 조국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새 대표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당에 따르면 이날 당원 찬반 투표에서 조 신임 대표는 98.6%의 찬성을 얻어 사실상 추대 형식으로 당선됐다.

조 대표는 정견 발표에서 윤석열 정부 시기 총선을 거치며 형성된 당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그는 “윤석열 정권 시절 쇄빙선이 돼 정권 심판의 불을 지피고 민주 진보 진영의 압승을 이끌어 국회 제3당을 만들어낸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고 말하며 “기어코 윤석열 검찰 독재를 무너뜨리고 내란을 격퇴한 당원동지가 자랑스럽다”고 했다.
이어 그는 향후 노선을 두고 거대 양당 정치와 선을 그었다. 조 대표는 “혁신당은 한국 정치가 의지해온 낡은 해도를 찢겠다”며 “오직 국민의 뜻을 나침반 삼아 거대 양당이 가지 않은 신항로를 개척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아가 “정치개혁, 민생개혁, 경제개혁, 사회개혁, 인권개혁의 항해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선언했다.
조 대표는 과거 자녀 입시 비리 등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복역하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광복절에 특별 사면·복권된 인물이다. 복권 후 조국혁신당 내 성 비위 사건이 불거지자 당은 수습을 위해 조 전 장관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했고, 조 전 위원장은 혼란 수습과 조직 정비에 나섰다. 이후 이번 전국당원대회에서 당 대표에 단독 출마해 지도체제 전환을 마무리했다.
이날 함께 치러진 최고위원 선거에서는 2명을 뽑는 구조 속에 신장식 의원과 정춘생 의원이 각각 최고위원에 당선됐다. 신장식 의원은 진보 성향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개혁 입법을 주도해 왔고, 정춘생 의원은 지역 조직 기반을 토대로 당내에서 실무형 정치인으로 평가돼 왔다.
차기 지도부는 조국 대표와 서왕진 원내대표, 신장식 최고위원, 정춘생 최고위원, 그리고 조 대표가 추후 지명할 지명직 최고위원 1명까지 총 5명 체제로 꾸려진다. 조 대표가 어떤 인사를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향후 조국혁신당의 정책 우선순위와 연합 구도도 가늠될 전망이다.
조국혁신당 지도부는 당내 성 비위 사태 이후 실추된 도덕성 회복과 제3당으로서의 존재감 강화를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조 대표 본인의 사법 리스크 이력에 대한 비판 여론이 여전히 남아 있어, 향후 국회 활동과 공직자 도덕성 논쟁에서 야권과 여권 양측의 견제가 예상된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조 대표가 내세운 정치개혁 과제가 선거제도 개편, 검찰·사법개혁, 정당 구조 개편 논의와 맞물리며 다시 쟁점으로 떠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조국혁신당은 새 지도부를 중심으로 정기국회와 각종 개혁 입법 과정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으로, 국회는 향후 회기에서 선거제와 권력구조 개편 논의를 두고 조국혁신당의 행보를 예의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