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XRP 상장 유지”…바이낸스, 규제 압박 속 시장 신뢰 방점

신채원 기자
입력

현지 시각 17일,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는 리플 XRP(XRP) 상장에 대해 “규제 당국의 압박에도 지속 지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전 CEO 창펑자오(Changpeng Zhao, CZ)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법적 분쟁 과정에서조차 XRP의 상장 폐지는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발언은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규제 심화라는 국제 정세 속 바이낸스의 방침을 드러내며, 시장 신뢰 유지와 거래소 책임론을 둘러싼 논쟁을 재점화했다.

 

CZ는 “바이낸스는 시가총액 1천억 달러 이상을 유지하는 자산의 상장 지속을 보장해왔다”며 “XRP는 강력한 유동성과 시장 기반을 갖춘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견고한 프로젝트에는 상장 대가를 받지 않는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는 최근 커뮤니티 내에서 불거진 바이낸스의 ‘알파 리스팅(Alpha Listing)’ 및 상장 조건 논란을 겨냥한 발언이기도 하다.

바이낸스, 리플 XRP 상장 유지 입장 명확히…규제 압박에도 시장 신뢰 강조
바이낸스, 리플 XRP 상장 유지 입장 명확히…규제 압박에도 시장 신뢰 강조

논란의 중심에는 바이낸스가 초기 토큰 상장 과정에서 높은 담보금과 토큰 할당을 요구했다는 주장, 그리고 그 현실성에 대한 프로젝트들의 반발이 있다. 리미트리스랩스(Limitless Labs) 최고경영자 CJ 헤더링턴은 4%의 토큰 에어드롭, 1%의 마케팅용 할당과 25만 달러 보증금, 200만 달러 상당의 바이낸스코인(BNB) 담보를 의무화했다고 언급했다. 반면 창펑자오는 상장 절차의 공정성과 안전성을 강조하며, “일부 보증금은 위험도가 높은 프로젝트에만 적용되고, 통상 환불이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바이낸스 공동창립자 허이(He Yi)도 “신뢰도 높은 프로젝트에는 상장 수수료가 없고, 보증금은 리스크 방어장치”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 조건의 투명성 및 시장 개방성을 둘러싼 입장차는 각국 암호화폐 시장 참여자 및 감독 당국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베이스(Base) 창립자 제시 폴락(Jesse Pollak)은 “토큰 상장은 높은 금융적 장벽 없이 가능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코인베이스 등 주요 거래소별 접근성 논의도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이번 바이낸스의 공식 입장이 “국제 가상자산 규제 전쟁에서 거래소 신뢰 회복 시도의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영국 BBC와 CNBC 등 외신은 “글로벌 규제 강화 흐름 속 상장 기준 투명성이 암호화폐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을 완화할 핵심 이슈”라고 진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주요 거래소의 상장 정책 논의가 전세계 암호화폐 거래시장 구조와 투자문화에 장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내다본다. 한편, 규제 심화와 투자심리 악화로 인해 XRP 등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단기적 변동성이 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국제사회는 이번 바이낸스의 공식 발표와 향후 실질적 시장 조치, 규제 대응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바이낸스#리플xrp#창펑자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