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국가 전산망 복구율 38.5%”…행안부, 점진적 정상화로 전환

오승현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전산망 화재로 마비됐던 국가 정보시스템이 점진적으로 정상화되고 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8일째 복구 작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709개 정보시스템 중 273개를 복구해 복구율 38.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최근에는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 9개 시스템이 새롭게 정상화 대상으로 포함돼, 정책 및 행정 서비스의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중앙 시스템 신뢰성 강화와 데이터 재해 복구 체계의 ‘중대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행안부는 시스템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해 우선 복구를 진행 중이다. 1등급 시스템 가운데 77.5%, 2등급 51.5%, 3등급 44.8%, 4등급 26.5%가 정상화됐다. 정부는 복구 속도가 15일 이후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이번 복구 과정에서는 대구센터 이전 및 민간 클라우드 협력 활용 등 분산 복구 계획이 본격화됐다. 5층 8전산실에 대한 분진 제거와 전원공사가 11일 마무리돼 전기 공급이 재개된 후, 다른 층으로 신규 장비를 설치하는 접근법이 병행된다. 분진 및 화재 피해가 심했던 7·7-1 전산실 시스템 중 20개는 대구센터로 물리적 이전해 복구할 예정이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추가 협의를 거쳐 복구 및 이전 대상을 확대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일부 시스템은 이미 민간 클라우드와 부처 협업을 통해 복구 절차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복구는 단일 센터 집적 구조가 가진 리스크를 드러내면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다중백업 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해외 주요 국가들은 국가정보 인프라 회복력을 위해 다중 지역에 핵심 시스템 이중화를 이미 확대하는 추세다. 

 

초기 대응과 복구 과정에서 데이터 무결성 및 연속성에 대한 관리 기준 강화가 요구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향후 동일한 장애 재발 방지책으로 전력·소방 설비 이중화 및 데이터 재해 복구 시나리오 시범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중앙 시스템 복구의 성패가 디지털 정부 신뢰도와 직결된다”며 상시 비상대응 체계와 정책 개선 필요성을 언급한다. 산업계는 이번 복구 전략이 선례가 돼, 공공 IT 인프라 전반의 회복탄력성 제고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안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대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