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외압 부인…격노는 재발 막으라는 호통” 윤석열 전 대통령, 해병특검 7시간 조사
수사외압 의혹을 둘러싸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특별검사팀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조사에 외압이 있었는지 여부를 두고 정치적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11일 윤 전 대통령이 피의자 신분으로 7시간 가량 조사를 받았다. 긴 조사 이후 윤 전 대통령 측 해명이 나오면서 정국의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이날 특별검사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오전 10시 2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서울 소재 특검 사무실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직접 조사했다. 조사는 영상녹화로 이뤄졌으며, 천대원 부장검사와 박상현 부부장검사가 수사를 맡았다. 윤 전 대통령은 조사 내내 '피의자'로 불렸고, 배보윤·채명성 변호사가 입회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후 조서 열람 절차를 거쳤으며, 서울구치소로 곧바로 복귀했다.

특검팀은 100쪽이 넘는 질문지를 준비해 강도 높은 조사를 벌였다. 특히 대통령실 외교안보회의 당시 ‘VIP 격노’ 발언, 사건 기록 회수 지시 여부, 박정훈 대령 항명 사건의 경위 등 주요 국면마다 직접 해명을 요구했다. 윤 전 대통령은 모든 질문에 진술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혐의는 전면 부인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외교안보회의 당시 격노는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질책성 발언이었다”며 압력 행사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또한 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 지시 역시 없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을 둘러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호주 대사 임명 관련 ‘범인도피’ 의혹 등 추가 혐의에 대해서도 방어 논리를 펼쳤다.
특검팀 역시 구체적 증거와 증언을 바탕으로 수사외압 및 은폐 사실에 접근하고 있다. 영상녹화, 변호인 입회 등 엄격한 절차가 강조된 가운데, 수사 당국은 “조사를 원만하게 마치는 것이 최우선이었다”고 설명했다. 비공개 출석과 관련해서도, 양측 모두 안전상 이유를 들어 예외 조치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치권과 시민 사회는 이번 조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윤 전 대통령 출석이 처음인 해병특검 수사와 맞물려, 이종섭 전 장관 해외 체류 관련 추가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번 조사는 내란·외환 특검팀 이후 두 번째로 이뤄졌다.
특검팀은 수사외압 의혹 1차 조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이종섭 전 장관 도피 혐의 등을 놓고 윤 전 대통령 2차 출석 일정을 변호인단 측과 조율할 방침이다. 변호인단 재판 일정을 고려해 오는 15일 재조사가 검토 중이다.
정치권은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 조사와 해병특검 수사에 주목하며 첨예한 공방을 이어갔고, 수사 당국은 향후 추가 조사와 관련해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