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운명의 한미정상회담 무대 올랐다”…이재명, 방미 성과에 국정동력 달렸다
정치

“운명의 한미정상회담 무대 올랐다”…이재명, 방미 성과에 국정동력 달렸다

윤선우 기자
입력

통상과 안보를 둘러싼 한미 간 핵심 현안이 미국 워싱턴DC에 집결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오후(현지시간) 앤드루스 공군기지를 통해 미국에 도착하며 2박 3일간의 공식 방문 일정에 돌입했다. 한미정상회담이라는 중대한 외교 이벤트를 앞두고, 양국의 국정 동력과 정치적 추이가 맞물리며 정국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일본 도쿄 일정을 마친 뒤 하네다 공항을 통해 출국, 이날 워싱턴DC에 내렸다. 가장 큰 관심은 25일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쏠리고 있다. 이 회담 자리에서 두 정상은 지난달 말 타결에 이른 관세협상에 대한 추가 세부 협의를 비롯해,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전시작전권 전환 문제, 국방비 증액 등 주요 현안을 포괄적으로 다룰 전망이다.

양국 경제통상 안정화, 한미동맹 현대화, 새로운 협력 영역 개척 등도 공식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위성락 청와대 안보실장은 “양국의 경제통상 분야를 어떻게 안정화하느냐, 한미동맹을 어떻게 현대화하느냐, 어떻게 새로운 협력의 영역을 개척하느냐 등 3가지가 주요 논의 주제”라고 설명했다. 또 원자력분야 협정 개선을 통한 협력 확대 논의도 거론되고 있다.

 

정상회담 준비에는 정부 핵심 인사들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에 조기 파견됐으며,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까지 대통령 직접 수행에 나서며 대통령실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이뤄지는 정상회담의 결과가 신정부 국정운영의 향배를 가를 것이란 분석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정상회담직후에는 양국 재계인사들이 참석하는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 등 경제 외교 일정도 연이어 진행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또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 연설 등 다양한 공식 일정을 통해 한미 현안 입장과 미래 비전을 공유할 계획이다. 방문 마지막 날인 26일에는 필라델피아로 이동해 한화오션이 인수한 필리조선소 시찰 일정이, 그리고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26년 만에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서재필 기념관 방문도 예고되고 있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방미 결과가 앞으로의 한미관계는 물론 국내 정치지형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정상회담에서 도출된 합의 사항을 토대로 경제와 안보, 외교 협력 확대를 위한 후속 조치 검토에 나설 방침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트럼프#한미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