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美 관세 파고에 수출 전략 다변화”…현대차, 유럽 호조로 역대 8월 최고 실적→수익성 과제
자동차

“美 관세 파고에 수출 전략 다변화”…현대차, 유럽 호조로 역대 8월 최고 실적→수익성 과제

조보라 기자
입력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치열한 경쟁과 감세 정책, 보호무역 여건 속에서 요동치는 가운데, 한국 자동차 산업은 전략적 대응을 통해 전례 없는 수출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5년 8월 한국 자동차 수출은 55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6% 증가하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다. 이러한 수치는 8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으로 기록된다.  

 

미국 시장에서 고율 관세가 6개월 넘게 적용되는 불리한 환경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현지 투자 및 생산 확대와 함께 유럽연합(EU), 독립국가연합(CIS), 중동 등으로 수출 포트폴리오를 적극 전환했다. 8월 대미 수출은 -3.5%의 감소 폭을 보였으나, EU 수출이 78.9%, CIS로는 22.3% 각각 급증하며 미국 시장의 타격을 상쇄했다. 현대차는 앨라배마와 조지아 주를 아우르는 생산거점 확충과 함께, 전기차 신공장(HMGMA)에서 아이오닉5, 아이오닉9 등 친환경차의 현지생산 체제를 공고히 하고 있다. 그 결과, 8월 현대차·기아의 미국 내 합산 판매량은 17만9,455대로 전년 동월 대비 10% 넘게 증가했다.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 현대차 투싼·팰리세이드·아반떼, 기아 스포티지·K4·텔루라이드 등이 호조세를 견인했다.  

美 관세 파고에 수출 전략 다변화”…현대차, 유럽 호조로 역대 8월 최고 실적→수익성 과제
美 관세 파고에 수출 전략 다변화”…현대차, 유럽 호조로 역대 8월 최고 실적→수익성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판매 확대 이면에는 관세 부담에 따른 수익성 저하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 현대차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48조2,867억원에 달하며 신고점을 경신했으나, 영업이익은 15.8% 감소하고 영업이익률 역시 9.5%에서 7.5%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관세 영향으로 2분기 8,282억원의 영업이익이 증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으로 일본차와의 관세 격차 확대, 미국의 자동차 관세 정책 및 통상 조치 연계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만큼, 현지화 전략 고도화와 정부의 신속한 무역 정책 대응이 동시에 요구된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한국 자동차 메이커들이 시장 다변화 노력에도 미국 시장 관세 부담이 여전하며, 단기간 내 적응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완성차 업계가 시장 변화의 외풍을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현대차#수출#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