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기차 시장 27% 성장”…BYD 강세, 현대차그룹 약진→캐즘 논쟁 이어져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일시적 성장 정체인 소위 ‘캐즘’ 논쟁 속에서도 올해 1∼8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27.7%라는 압도적 성장세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SNE리서치가 14일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세계 전기차 등록 대수는 1천283만7천대로 집계됐다. 전기차 수요 확장과 각국의 친환경 정책, 기업별 신모델 전략이 맞물리면서 시장의 성장력이 유지되고 있다.
시장 주도권은 여전히 중국이 쥐고 있다. BYD가 255만6천대(14.1% 증가)를 판매해 점유율 19.9%로 1위를 차지하며, 유럽과 동남아 등지의 현지화 전략이 빛을 발했다. 지리그룹도 두 자리 수 성장률(67.8%)을 기록하며 131만5천대, 점유율 10.2%로 급부상했다. 반면 미국의 테슬라는 10.9% 감소한 98만5천대를 기록해 3위에 머물렀다. 테슬라 판매 감소는 모델Y와 모델3의 부진 및 주요 지역들의 수요 둔화에서 비롯됐으며, 유럽(21.5%↓), 북미(12.2%↓), 중국(6.9%↓) 모두 역성장을 면치 못했다.

눈에 띄는 것은 현대차그룹의 약진이다. 현대차그룹은 총 41만6천대를 판매(12.9% 상승)해 7위에 올랐고, 북미시장에서는 11만8천대를 판매하며 테슬라, GM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이는 포드, 스텔란티스, 도요타, 폭스바겐을 넘어선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동사 전기차 실적의 축은 아이오닉5, EV3 등 순수 전기차 모델과, 인도·동남아 전용 전략형 소형모델의 인기 확산에 기반했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이 글로벌 시장의 63%를 차지하며 주도권을 강화했고(판매량 809만4천대, 29% 증가), 유럽 역시 복수의 보급 정책과 신차 투입으로 32% 늘어난 256만1천대를 판매했다. 반면, 북미에서의 성장세는 2.9%로 다소 둔화된 것이 특징이다. SNE리서치는 “지역별로 전기차 성장 온도차가 커지고 있다”며, “유럽·아시아 신흥국은 정책·모델 다변화로 성장세가 이어지지만, 북미는 정책 조정 이슈가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격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추가 신차와 현지 생산 강화 등으로 경쟁력 확보를 시도할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