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괄적 주식교환 합병 추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 오늘 교환 비율 의결
네이버의 금융 계열사 네이버파이낸셜과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26일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의 합병 논의를 본격화한다. 양사는 같은 날 이사회를 통해 주식 교환 비율과 구조를 포함한 합병안을 심의하면서, 향후 금융·가상자산 사업에 미칠 파급력이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번 결정을 통해 빅테크와 가상자산 플랫폼의 결합이 어떤 전략 변화를 예고할지 주목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26일 수도권 일대에서 각각 이사회를 열고 포괄적 주식 교환 조건과 합병안을 논의한다. 네이버파이낸셜의 모회사인 네이버도 별도 이사회를 소집해 두나무와의 합병 관련 안건을 테이블에 올려, 그룹 차원의 지배구조와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방안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양사의 이사회에서는 포괄적 주식 교환 비율을 핵심으로 합병 세부 조건이 집중 검토될 전망이다. 정보통신과 투자은행 업계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 간 합병 구상이 이미 상당 부분 사전 조율된 만큼,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이사회 문턱을 넘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자 창업자인 이해진 의장도 직접 회의에 참석해 두나무와의 합병 계획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한 이사들의 의견을 수렴할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에서는 주식 교환 비율과 관련해 두나무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3주를 교환하는 1대3 안이 유력한 시나리오로 거론된다. 정확한 교환 비율은 이사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며, 이날 오후 공시를 통해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밸류에이션과 향후 성장성, 규제 리스크 등을 감안해 최종 비율이 조정될 여지도 남아 있다고 본다.
합병이 이사회 단계에서 의결될 경우 지배구조 재편도 본궤도에 오르게 된다. IT업계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 지분 100%를 확보해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고, 두나무는 지배구조상 네이버의 손자회사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네이버 입장에서는 금융과 디지털 자산을 아우르는 플랫폼 경쟁력을 키우는 동시에, 계열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다만 이사회 의결만으로 합병이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이사회 이후 각사의 주주 동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양사는 향후 주주총회를 열어 특별결의를 진행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과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동의를 확보해야 합병이 최종 승인된다. 업계에서는 양사 사업의 성장성과 플랫폼 결합 효과를 강조해 주주 설득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 추진은 빅테크의 금융 진출과 가상자산 산업의 제도권 편입 흐름이 맞물린 결과라는 평가도 있다. 전문가들은 합병이 현실화될 경우 양사의 서비스 통합과 새로운 금융·투자 상품 출시가 가속화될 수 있는 반면, 금융당국의 규제·감독 강화 가능성도 함께 점검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향후 주주총회 결과와 감독당국의 심사 과정이 합병 성사 여부를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