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디지털 재활솔루션 주목”…에버엑스, 148억 투자 유치 → 글로벌 헬스케어 확장 신호
AI 기반 디지털 재활 기술이 세계 헬스케어 산업의 혁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에버엑스가 총 148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근골격계 질환에 특화된 AI 동작분석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치료제(DTx) 기술의 해외 시장 확대가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업계는 이번 투자를 ‘디지털 재활 솔루션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병원 현장 및 글로벌 시장에서의 상용화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
에버엑스는 2023년 시리즈A 이후 2년 만에 시리즈B 투자를 유치, 누적 투자금 규모를 크게 늘렸다. 대표 솔루션은 모라(MORA) 브랜드로, AI 기반 근골격계 분석 소프트웨어(모라뷰, 모라핏), 임직원 건강관리 솔루션(모라케어), 비대면 재활운동 솔루션(모라엑스), 그리고 혁신의료기기 지정 경험이 있는 근골격계질환 디지털 치료기기(DTx) 모라큐어 등이다. 회사는 프리미어파트너스, 하나벤처스 등 기존 투자자에 더해, 한국산업은행·SBI인베스트먼트 등 신규 투자기관의 참여로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성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재확인 받았다.

기술의 핵심은 70만 건 이상의 근골격계 데이터를 활용한 AI 동작분석 모델이다. 모바일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와 속도를 구현, 병원·원격 재활·기업 건강관리까지 넓은 활용성을 보인다. 특히 이 기술은 기존 근골격계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며, 미국·아시아 시장에서 ‘에버엑스 리헵’ 등 솔루션 실사용 확대를 이끌고 있다. 회사는 국제 컴퓨터 비전 학회(ICCV) 2025에 비디오 이해·생성 관련 논문 3편이 채택되는 등,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의 국제적 기술 경쟁력도 입증했다.
시장 적용 역시 구체화되고 있다. 에버엑스는 이미 국내외 100여 곳 의료기관에 솔루션을 도입했으며, 모라큐어는 국내 근골격계 DTx 최초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회사는 병원 전자의무기록(EMR) 연동 추진과 유통채널 다변화를 통해 임상 실사용성과 접근성 제고에 나섰다. 동시에 미국, 싱가포르, 일본 등 해외 영업망 확대와 APAC 시장 진출도 병행한다.
경쟁 시장에서는 미국 등에서 대형 IT·바이오 기업들이 디지털 재활과 원격 모니터링 솔루션 상용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아직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 우위나 표준화 경쟁이 치열하지만, 에버엑스는 데이터 기반 AI 동작분석 고도화와 빠른 현장 적용으로 차별적 입지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는 평가다.
정책·제도 측면에서 국내에서는 디지털 치료기기 인허가 제도와 혁신의료기기 지정 등 제도화가 진전되고 있고, 데이터 기반 AI 재활 솔루션의 표준화·임상 적용에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규제와 인증 요구가 강화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의 EMA·FDA 등 해외 인증 취득이 업계의 주요 과제로 부상한다.
윤찬 에버엑스 대표는 “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은 근골격계 질환 재활 치료의 효과와 패러다임을 바꿀 대안”이라며 “개인 맞춤형 재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글로벌 시장 혁신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데이터 기반 AI 재활 기술이 보건·의료 현장의 표준으로 자리잡을지, 그리고 기업들이 실제 시장에서 얼마나 빠르고 안정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술 발전과 산업구조 변화, 정책과 제도의 조화가 신성장동력의 핵심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