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한미 조선산업 동맹 새 지평”…이재명 대통령·김동관, 미국 필리조선소서 50억달러 추가 투자 선언
정치

“한미 조선산업 동맹 새 지평”…이재명 대통령·김동관, 미국 필리조선소서 50억달러 추가 투자 선언

권혁준 기자
입력

한화그룹과 미국 조선산업의 대형 협력 프로젝트를 둘러싸고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현장에서 50억달러(약 7조원) 추가 투자가 선언됐다. 한미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양국 조선산업이 본격적으로 맞붙으며 정책 협력과 산업 전환을 둘러싼 정계와 업계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산 에너지 수출을 규정한 미국 통상법 301조 및 존스법 개정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의 물류 산업과 맞물려 정치권에 적지 않은 파장을 예고했다.

 

26일(현지시간) 미국 필라델피아의 한화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 선박 명명식에서 한화그룹은 연간 최대 20척 건조를 목표로 50억달러 추가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한미 조선 협력의 상징인 한화필리조선소에서 한미 동맹의 새로운 지평이 열리길 기대합니다”라고 방명록에 남겼다. 이날 명명된 스테이트 오브 메인호는 미국 해사청이 발주한 ‘국가안보 다목적 선박’ 3호선이다.

한화그룹은 이번 투자가 ‘조선산업 협력 투자펀드’ 1천500억달러를 핵심 재원으로 삼아, 독(건조공간) 2개와 안벽 3개를 추가 확보하고 12만평 규모 블록 생산기지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여기에 한화오션의 자동화 설비, 스마트 야드, 안전 시스템도 도입돼 고부가가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와 함정 블록·모듈 구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한화그룹 해운 계열사인 한화해운(한화쉬핑) 역시 한화필리조선소에 중형 유조선(MR탱커) 10척, LNG 운반선 1척을 추가 발주했다. 중형 유조선 발주는 모두 한화필리조선소에서 단독 건조돼 2029년 초 인도된다. 이전에 수주한 LNG 운반선과 달리, 한화오션이 아닌 한화필리조선소 단독 공사가 이뤄지는 것 역시 한미 조선산업 협력의 진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대규모 투자가 미국 에너지 수출 확대 및 미국산 선박 사용 의무화에 대응하는 한국 해운·조선업계의 전략적 진출로 평가된다. 한편, 한미 관세 협상에서 조선산업이 핵심 현안으로 부상한 데다, 정책금융기관 중심의 투자펀드 조성을 통한 금융 지원책이 병행되면서 향후 한미산업 협력 모델이 더욱 확산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명명식에 참석한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명명식은 한미 양국이 조선산업을 재건하고, 선박 건조 역량을 확장하며, 미래 산업을 이끌 숙련된 인재를 양성하는 투자가 현실화되는 순간”이라며 “한화가 미국 조선산업의 든든한 파트너로 남겠다”고 강조했다. 한화필리조선소는 지난 해 말 한화오션(40%)과 한화시스템(60%)이 1억달러를 투자해 인수했고, 지난 7월 첫 LNG 운반선 수주도 기록했다.

 

정치권은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가 본격 가동됨에 따라, 양국 해운과 에너지산업 전반에 미칠 장기적 영향에도 주목하고 있다. 한화그룹 측은 “한화필리조선소가 한미 조선 협력에서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혀, 향후 후속 협력사업과 산업 확장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날 조선소를 찾은 한미 양국 정부와 업계 주요 인사들은 정책금융·실물투자를 아우르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양국 경제와 노동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한미 조선산업 협력이 산업재편, 에너지 수출 경쟁에 미치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추가 제도개선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한화그룹#한화필리조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