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미래차 국가산단 수익성 논란”…광주시, 분양 부진시 직접 매입→재정 부담 관측
자동차

“미래차 국가산단 수익성 논란”…광주시, 분양 부진시 직접 매입→재정 부담 관측

조보라 기자
입력

광주시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미래차(모빌리티)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이 재무적‧경제적 양면에서 타당성 부족 판정을 받으면서, 지역 자동차 산업 생태계의 중장기 재편 전략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시는 조성원가 공급 원칙과 미분양 발생 시 직접 매입 등 다각적 보완책을 제시했으나, 재정 부담 확대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예비 사업시행자로 선정된 광주도시공사는 총 1조3,690억원을 투입해 광산구 오운동 일대에 338만4천㎡에 이르는 국가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분석 결과,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은 시민 편익 등 넓은 Evaluation에도 불구하고 미확보로 나타났다. 특히 재무적 타당성은 조성원가(평당 197만원)가 기존 산단(80여만원)을 크게 상회하며, 분양가 역시 조성원가의 60% 수준(118만원)으로 책정돼 2,041억원의 손실이 추산됐다. 광주시는 이 손실을 완화하기 위해 원가 분양, 투자비 절감, 준공 3년 이후 미분양 산업 용지 직접 매입을 포함한 기본 협약을 광주도시공사와 체결할 계획이다.

미래차 국가산단 수익성 논란
미래차 국가산단 수익성 논란

그러나 미분양 물량에 대한 직접 매입 등 보완책들은 도시재정에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광주시 관계자는 빛그린 산단 내 광주 구역의 100% 분양 실적을 근거로 미래차 국가산단 역시 소재·부품·장비 단지와 RE100(재생에너지 100%) 단지로 조성된다면 정부 규제 완화 등으로 분양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기업 수요가 입주를 타진할 정도로 부지 부족 현상이 두드러진다고 언급하며, 성공여부는 신속한 그린벨트 해제 등 추진 속도에 달려있다고 진단했다. 정책 현장에서는 미분양 리스크와 재정 안정성 간 균형,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선도를 위한 입지 전략이 한층 더 정교한 검토를 요구받게 됐다.  

 

요컨대 미래차 신산업 단지 조성은 광주‧전남권 미래 성장동력을 좌우할 중대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업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정밀한 정책 설계와, 공공재정 한계 내 투자 효율성 개선이 향후 관건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주시#미래차국가산단#분양타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