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리스크 면밀 점검”…국가안보실, 中 희토류 통제 대응에 각 부처 협업 주문
경제안보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국가안보실과 관계부처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에 맞서 공급망 리스크 점검에 나섰다. 20일 오전 서울에서 열린 경제안보 여건 점검 회의에는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등 주요 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최근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우리 정부도 주요 산업의 안전망 확보에 박차를 가하는 모양새다.
국가안보실은 "최근의 지정학적 환경 변화 등 경제안보 여건을 진단하고 그 국내적 영향을 점검하기 위한 회의"라며 "참석자들은 경제안보 여건 변화에 대한 우리 공급망 등의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가 전기차, 반도체 등 전략 산업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왔다.

정부는 "각종 리스크가 우리 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간 긴밀히 협업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는 단기 대응책부터 장기적 공급선 다변화, 자원 개발 및 비축 등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이 모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회의는 중국 상무부가 지난 9일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한 뒤, 국가안보실이 지난 15일 국내 희토류 수급 현황을 점검한 데 연이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희토류 자원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안정적 확보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최소한의 리스크 대응 체계를 갖추라는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정부는 안보와 경제 현안을 아우르며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국내 산업에 미칠 파장을 주시하고 있다. 각 부처의 실무협의가 이어지면서 향후 추가 점검 회의 개최와 공급선 다변화 정책 강화가 검토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