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지역언론 위기 극복 지원”…이규연, 이재명 정부 지방 소통 전략 강조

박지수 기자
입력

정치권의 소통 전략을 둘러싼 물음은 이번 정국에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대통령실이 지방을 향한 소통 강화 의지를 재차 강조하면서, 지역언론 지원 확대 방안이 본격 논의 국면에 들어가는 모양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20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열린 로컬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이재명 정부의 국정홍보 방향을 설명하며 지역언론 지원 확대를 약속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지방과 소통에 관심이 많다”면서 “지역언론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규제를 개선하고 지원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로컬 미디어데이는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한국지방신문협회, 한국지역민영방송협회, 지역MBC사장협의회 등 4개 지역언론 단체가 함께 마련한 행사다. 대통령실 핵심 홍보 라인이 직접 참석해 지방과의 소통 전략을 설명한 만큼, 향후 제도 개선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 수석은 먼저 경북 경주에서 진행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행사 준비 경험을 언급했다. 그는 “경북 경주에서 APEC 행사를 준비하면서 이렇게 큰 행사가 숙소나 교통 등 인프라가 열악한 지방에서 무사히 치러질까 하는 걱정을 했었다”고 털어놨다. 이어 “결과는 기대보다 훨씬 더 성공적이었고, 그것은 경주가 가진 독특한 지역의 힘이 발휘된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 경험을 지역언론 상황과 연결 지었다. 이 수석은 “지역언론 역시 지역이 보유한 특수한 콘텐츠가 있기 때문에, 그 가치와 힘을 발휘하면 현재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고유의 문화, 경제, 생활 현장을 다루는 보도가 중앙 매체와 차별화된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취지다.

 

이재명 대통령의 소통 기조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이 수석은 “이재명 대통령은 언론과 소통에 엄청난 관심이 있고, 2주에 한 번씩 지역을 돌겠다고 말할 정도로 지방에서 소통하겠다는 의지도 강하다”고 전했다. 정기적인 지역 방문과 현장 행보를 통해 지방 여론을 직접 청취하겠다는 구상으로 해석된다.

 

정책 방향과 관련해선 규제 완화와 재정 지원 확대를 함께 언급했다. 이 수석은 “20∼30년간 개선이 없었던 규제는 합리성과 실용성에 기초해서 풀어나가고, 지역언론 지원 예산도 늘려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손질되지 않았던 방송·신문 관련 규제를 점검하면서, 지역 매체를 대상으로 한 지원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행사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지역 언론사 대표들은 구체적인 건의를 쏟아냈다. 참석자들은 지역 언론사의 콘텐츠 개발 지원, 지역신문발전위원회를 통한 지원책 확대, 초고화질 UHD 방송 전환 정책의 현실화 등 현안을 짚었다. 특히 디지털 전환 비용 부담과 인력 부족 문제를 둘러싼 애로가 집중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이 수석은 “말씀들을 모두 담아서 대통령께 보고드리겠다”고 답했다. 직접적인 정책 약속 대신 대통령 보고를 언급했지만, 대통령실이 지역언론 현장의 요구를 정책 검토 테이블에 올리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지역 기반 정치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중앙정부의 지원 방향은 향후 지방 여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대통령실이 예고한 규제 개선과 예산 확대 방안이 구체적인 입법과 예산 편성으로 이어질지, 정치권과 정부는 다음 회기에서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본격 논의에 부칠 계획이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규연#이재명대통령#지역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