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ºC

logo
logo
“ctDNA로 항암 신약 효율화”…이뮨온시아·아이엠비디엑스 정밀의료 협력 확대
IT/바이오

“ctDNA로 항암 신약 효율화”…이뮨온시아·아이엠비디엑스 정밀의료 협력 확대

최동현 기자
입력

액체생검 기반의 혈중순환종양 DNA(ctDNA) 신기술이 항암 신약 개발과 정밀의료 산업 혁신에 새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이뮨온시아(대표 김흥태)와 아이엠비디엑스(대표 김태유)는 최근 신약 개발 및 정밀 진단 영역에서의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사는 기존 임상시험 협력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공동연구 및 임상데이터 활용, 최첨단 기술 교류와 실질적 사업화 등 바이오 헬스케어 전 분야에서 협력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협약이 면역항암제 신약 시장의 경쟁 질서를 바꿀 수 있는 ‘정밀의료 통합 경쟁’의 분기점이 된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뮨온시아는 아이엠비디엑스의 ctDNA 분석 솔루션 ‘알파리퀴드’ 플랫폼을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에 통합한다. 이를 통해 IMC-001(PD-L1 표적 항체)과 IMC-002(CD47 표적 항체) 등 차세대 항암제 개발 과정에서 환자별 종양 특성의 실시간 분석, 반응 예측, 치료 효과 모니터링까지 정밀도를 높일 계획이다. ctDNA 기술은 암 세포에서 유래한 유전정보 단편을 혈액에서 탐지·분석, 기존 조직 생검 대비 비용 부담과 환자 불편을 크게 줄이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항암 임상 연구에선 표적 후보물질 선정부터 치료 반응 조기 예측까지 신약개발 전 단계를 단축·고도화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밀 의료 산업에서 액체생검 솔루션의 시장성과 활용 범위는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암 환자 뿐 아니라 고위험군 스크리닝, 면역치료 전략 수립, 재발 감시, 동반진단 영역까지 적용 분야가 넓어졌고, 실제 임상 수요와 환자 맞춤형 치료 실효성도 검증되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 기업들도 유전체 기반 진단-치료 융합 모델을 경쟁적으로 선보이며, 미국·중국·유럽 주요 임상 현장에서도 ctDNA 기반 환자 선별 및 치료 프로토콜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뮨온시아와 아이엠비디엑스의 공동사업화는 데이터 활용·기술 교류, 면역항암 치료제 개발 효율 극대화, 진단-치료 통합 서비스 실현 등 측면에서 양 회사의 경쟁 우위 확보 전략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국내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과 첨단 액체생검 기술의 결합이 정밀의료 글로벌 시장 진출의 핵심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한다.

 

한편 액체생검의 임상적 신뢰성, 데이터 활용 윤리 및 개인정보 보호 관련 정책 이슈도 부각되고 있다. 식약처를 중심으로 ctDNA와 같은 차세대 정밀진단의 임상 시험 설계 기준, 동의 절차, 데이터 보안 강화 등 제도 정비가 병행 중이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역시 생명윤리·진단 정확도·시장 진입장벽을 함께 고려한 촘촘한 인증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산업계는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 구현, 신약 개발 효율화, 데이터 기반 임상 혁신이 실제 시장과 의료 현장에 어디까지 빠르게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 발전과 윤리적·제도적 균형이 미래 헬스케어 시장의 지속 성장 조건이 되고 있다.

최동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뮨온시아#아이엠비디엑스#정밀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