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베이스원, 완성형 청량 너머 새로운 미래”…밀리언셀러→5세대 K팝 아이콘 진화
재치와 열정으로 무대 위를 수놓던 제로베이스원의 아홉 멤버는 어느덧 5세대 K팝의 새로운 상징이 됐다. 밝게 터지는 에너지와 서정적인 여운이 공존한 시간, 팬덤의 응원과 함께 제로에서 원으로 완성되는 도전의 장이 펼쳐졌다. 기록과 가능성, 그리고 사랑스러움이 녹아든 여정은 K팝의 다음 미래를 향해 쉼 없이 움직이고 있다.
데뷔와 동시에 쌓아 올린 초고속 기록은 한국 음악계에서도 보기 드문 현상이다. 정규 1집 ‘NEVER SAY NEVER’로 일주일 만에 151만 장을 돌파한 제로베이스원은 6연속 밀리언셀러 타이틀을 거머쥐며 누적 900만 장이라는 신기록을 만들었다. 이는 프로젝트 그룹의 한계선을 넘어선 뜨거운 열기와,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의 존재감 강화로 이어졌다. 이 압도적 성장의 뿌리에는 성한빈의 차분한 리더십과 장하오의 강렬한 비주얼, 그리고 다양한 국적의 멤버들이 뿜어내는 폭넓은 매력이 자리했다.

이들이 여는 음악의 세계는 늘 새로웠다. 신곡 ‘아이코닉(ICONIK)’에서 시도한 미래지향적 디스코 펑크와 뉴잭스윙, 그리고 R&B와 낮은 랩이 섞인 다채로운 구성이 그룹만의 정체성을 완성했다. 일렉트릭 피아노와 베이스가 살아 움직이는 시원한 리듬은, 우주를 누비던 뮤직비디오와 어우러져 자유로운 소년미와 독특한 세계관을 더욱 빛나게 했다. 그간 ‘YOUTH IN THE SHADE’를 시작으로 일관되게 보여온 음악적 실험과 도전 정신이 다시 한번 세대를 관통하는 확장성을 입증한 셈이다.
광고와 브랜드 분야에서도 영향력은 두드러졌다. 대학 캠퍼스를 배경으로 한 ‘칠성사이다 제로’ 광고 캠페인에서 펼쳐진 에너지 넘치는 장면들은 제로베이스원의 청춘과 짜릿한 탄산의 이미지를 융합시켰고, MZ세대와의 이질감 없는 소통을 이끌었다. 발랄한 대사와 전력질주로 완성한 영상은 다수의 디지털 언론과 팬덤 커뮤니티에서 폭발적 반응을 이끌어냈다.
데이터를 통해 드러나는 이들의 대중적 인상 또한 흥미롭다. 남성 K팝 그룹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사랑스러움’ 이미지가 최상단을 차지했다는 사실은 글로벌 팬들의 감정선과 맞닿아 있다. ‘부드럽고 정적인’, ‘청량한’, ‘섹시한’, ‘멋진’ 등 상반된 키워드가 동행하는 모습은 단일 그룹으로서 지닌 차별화된 매력의 핵심이라 할 수 있었다.
개별 활동에서도 갑작스럽고 반짝이는 변화들이 이어졌다. 장하오가 드라마 ‘달까지 가자’에 첫 출연하는 등 연기자로서 가능성을 확인했고, 성한빈이 음악방송과 예능 MC로 활약하면서 제로베이스원이라는 이름을 다양한 장르에 각인시켰다. 이처럼 각 멤버의 성장은 팀 전체가 써내려 가는 ‘제로에서 원으로’의 대서사와 긴밀히 연결됐다.
프로젝트 그룹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음에도 내년 초 계약 만료를 앞둔 시점에서 제로베이스원의 결속력은 한층 돈독해졌다. 성한빈은 "최대한 많은 대화와 노력을 이어가겠다"며 팬과의 약속을 잊지 않았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적 선택을 넘어선 깊은 공감과 연대의 메시지로 전해졌다.
지금 이 순간에도 제로베이스원은 음반 기록, 이미지 혁신, 브랜드 파급력, 팬덤과의 소통까지 5세대 K팝의 모든 코드를 스스로 정의하고 있다. 첫 미니앨범 ‘YOUTH IN THE SHADE’부터 최근작 ‘NEVER SAY NEVER’까지, 각 앨범이 쌓아온 성장의 족적은 곧 5세대 K팝 아이콘의 역사로 이어진다. 완성형 그룹으로 올라선 지금 이들의 여정과 멤버별 스토리는 앞으로도 세계 음악 시장의 기대와 시선을 집중시킬 전망이다.
제로베이스원의 음악적 실험과 브랜드 창의성, 멤버별 이야기는 앞으로도 글로벌 K팝 신의 변화를 이끌 동력이 되고 있다. 그 변화와 가능성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챕터는 미지의 내일을 품은 채 또 하나의 현대 K팝 신화를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