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달러 지지선 무너졌다”…리플XRP, 1.80달러대가 마지막 방어선으로 부각
현지시각 기준 2025년 2월 15일, 가상자산 시장에서 리플XRP(엑스알피)의 핵심 지지선이던 2달러 선이 붕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주요 암호화폐 전문 매체들은 1.76∼1.80달러대의 좁은 수요 구간을 사실상 마지막 방어선으로 지목하며, 향후 가격 흐름이 글로벌 투자 심리와 규제 환경에 어떤 파장을 낳을지 주목하고 있다. 최근 수개월간 이어진 하락 추세 속에서 기술적 반등 신호가 포착됐지만, 구조적 추세 전환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보도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매체 크립토뉴스(cryptonews)는 ‘XRP Price Prediction: $2 Support Lost – Why the $1.80 Level Is Now the Last Line of Defense’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리플XRP의 가격 전망을 집중 분석했다. 리플XRP는 2달러 지지선 하향 이탈 이후 현재 1.92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해 8월 이후 형성된 하락 채널 내부에서 계속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각 반등 시도가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되밀리면서 매도세 우위 국면이 강화됐다는 평가다.

크립토뉴스는 특히 2.06달러 선 재돌파에 실패한 점을 하락 심리 심화의 신호로 해석했다. 캔들 차트 패턴에서는 아래꼬리 증가와 실체 축소가 반복되며 하락 압력이 점차 완화되는 양상이 관찰됐고, 상대강도지수(RSI)는 30 수준으로 밀려나 과매도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기술 지표는 단기적으로 반등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추세 전환을 확정짓는 근거로 보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동시에 제기된다.
매체는 1.76∼1.80달러 구간이 현재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지지 영역으로 부상한 이유를 세 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최근 수 주간 반복적으로 바닥 역할을 하며 매수세가 유입됐던 구간이라는 점, 둘째, 2024년 주요 거래 범위에서 수차례 저점 방어에 성공한 이력이 있다는 점, 셋째, 현재 하락 채널 하단부와 이 구간이 기술적으로 겹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은 사유로 1.80달러 안팎이 붕괴할 경우 하락 가속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지지선이 유지될 경우, 2024년 9월 이후 처음으로 ‘높은 저점’이 형성되며 단기 반등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 기술적 목표 가격으로는 1차로 2.21달러, 이후 2.57달러선이 제시됐다. 반대로 1.76달러마저 무너질 경우, 하단의 유동성 밀집 구간인 1.55달러와 1.36달러대가 새로운 지지 후보로 떠오르면서 추가 조정 국면이 열릴 수 있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이 같은 시나리오는 리플XRP가 기존 하락 채널 내에서 더 낮은 가격대를 탐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번 전망은 철저히 기술적 분석에 기반한 해석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분명하다는 지적도 함께 나온다. 과매도 반등, 패턴 돌파와 같은 신호는 시장 유동성, 글로벌 위험 자산 선호, 각국 규제정책 변화에 따라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외신의 가격 예측은 매수·매도 주체의 실제 수급 동향, 미국(USA) 규제 리스크, 글로벌 유동성 사이클과 같은 구조적 변수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기술 지표가 제시하는 단기 신호가 향후 추세의 방향성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단정적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외신 보도는 중기적으로 3.12달러, 나아가 3.64달러선까지의 확장 목표를 언급하며 낙관적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다만 이러한 전망은 시장 심리가 안정되고, 리플XRP를 둘러싼 소송·규제 리스크가 완화되며, 글로벌 유동성이 다시 위험 자산으로 유입되는 조건이 충족될 때에만 가능하다는 단서가 붙었다. 현재로서는 하락 채널 내부에서 추세선 상향 돌파와 거래량 회복이 동시에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3달러대 재도달 전망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한편 크립토뉴스는 기사 후반부에서 솔라나(Solana) 기반 신규 프로젝트인 ‘Bitcoin Hyper’를 소개했지만, 이 내용은 리플XRP 가격 전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다는 지적이 많다. 리플XRP 기술 분석 기사에 별도의 비트코인 관련 프로젝트를 병렬 배치하는 방식은 광고성 서술이 혼재할 소지가 있어, 정보의 독립성과 신뢰도 측면에서 주의 깊은 해석이 요구된다는 평가다. 국제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매체가 제공하는 분석과 홍보성 콘텐츠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향후 리플XRP 가격 흐름은 1.76∼1.80달러대 지지력 확인 여부에 크게 좌우될 전망이다. 해당 구간 방어에 성공한다면 과매도 구간에서의 단기 반등이 전개될 수 있으나, 지지가 붕괴될 경우 1.50달러 선 아래 유동성 구간을 향한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단기 기술 지표는 이미 과매도 영역에 진입했지만, 글로벌 유동성 위축과 규제 환경 변화 등 외생 변수로 인해 반전 시점과 강도는 쉽게 예단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중기적으로 의미 있는 반등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하락 채널 상단 돌파와 함께 거래량 증가, 규제 리스크 완화가 동시에 나타나야 한다고 분석하면서, 이번 조치가 향후 가상자산 시장의 투자 심리와 국제 규제 논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