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문건, 상부 지시 없이 작성 불가”…윤건영, 계엄사·합수부 파견 의혹 정면 제기
국가정보원 ‘비상계엄 선포 시 조치 사항’ 내부 문건을 둘러싼 논란이 정점에 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9일 유튜브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국정원 상부의 지시 없이 개인이 작성했다는 해명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논란의 본질을 다시 꺼냈다.
윤 의원은 이날 김어준 진행자와의 대담에서 국정원 문건에는 계엄사 합수부 등 주요 기관에 자사 요원 80명 이상을 동원하는 구체적 계획, 관련 부서 인력 편성, 대통령령 개정 필요까지 언급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정원은 이것이 단순 시뮬레이션 문건, 실무자가 개인적으로 만들어 보고도 올리지 않았다”고 주장해왔다며, “출근 시각, 문서 수발 기록, 조사국 편성 규모 등 실제 움직임을 볼 때 도저히 신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대담에 따르면 윤 의원은 “당시 직원들이 18시 이후 30% 이상, 조사국은 130명가량이 출근했다는 제보가 국정원 내부에서 나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수사조 80명이 이미 조 편성을 마치고 합수부와 계엄사 파견 준비까지 완료된 정황“이라며 “단순한 개인 창작물이 아니라 체계적 임무 준비의 결과”라고 강조했다. 김어준 진행자 역시 “계엄과 국정원이라는 거대한 조직 차원의 계획서를 혼자 썼다니 납득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특히 윤 의원은 문건 작성 시점과 국정원 고위층의 통화, 문서 취급 시각을 문제 삼았다. 그는 “조태용 전 국정원장이 윤석열에게 지시를 받은 직후 11시께 해당 문건 전달이 이루어졌으며, 홍장원 전 1차장에게도 유사 시각에 전화가 오갔다”고 진술했다. 이어 “‘혼자 해봤다’는 해명은 직업 공무원이 할 수 없는 어마어마한 내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 있다”고 반박했다.
정치권의 반발도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윤 의원 주장을 근거로 국정원의 공식 입장에 강하게 의문을 표하며 특검 수사 필요성을 역설했다. 국민의힘 등 여권 인사들은 “정치적 의도가 깔린 일방적 문제 제기”라며 한발 물러서는 분위기다.
한편 윤 의원은 국정원 출근 기록, 조사국 인력 편성 등 구체 데이터를 추가 제시하며 “특검과 사법 시스템에서의 진상 규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방송 진행자인 김어준은 “문건 발견의 결정적 계기가 내부 출근률 제보에서 시작됐으며, 수송 문제, 선관위 파견 계획까지 확인된 상황”이라며 논란이 단순 해프닝을 넘어 한국 정치의 중대 고비를 예고한다고 전했다.
정가 안팎에서는 이번 ‘비상계엄’ 국정원 문건 사태가 정국 격랑 속 핵심 쟁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향후 국정조사 및 특검 수사 과정에서 실무자 단독 작성 해명의 진위, 지휘라인 개입 여부, 국정원 합수부 파견 실무작업의 실제성 등이 본격적으로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