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로봇 기반 스마트 단지”…현대건설, 압구정에 미래형 도시 제안
자동차

“로봇 기반 스마트 단지”…현대건설, 압구정에 미래형 도시 제안

윤지안 기자
입력

로봇과 인공지능을 결합한 스마트시티 기술이 주거문화 혁신을 예고하고 있다. 현대건설이 추진하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2구역 재건축 사업에는 국내 최초로 ‘로봇 친화형 아파트’가 적용될 전망이다. 단지 내에서 이동,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등 생활 전반을 AI 기반 로봇들이 지원하면서, 도시 주거 패러다임 변화의 상징적 현장으로 주목된다. 업계는 이번 제안을 미래형 로봇 스마트시티 경쟁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현대건설은 10일 그룹 계열사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과 협력한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을 공식 제안했다. 단지 내 설계부터 로봇 동선, 각종 시스템 연계까지 전 영역에 특화 기술을 도입하는 방식이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관제 시스템과 연동된 로봇은 자동문, 엘리베이터,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단지 내 모든 구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완전 자율주행을 실현할 수 있게 설계됐다. 엘리베이터 호출, 문 개폐, 층간 이동 등도 로봇이 스스로 수행하며 동선 최적화를 구현한다.

핵심 기술은 피지컬 AI 플랫폼 기반 모빌리티·물류·통합안전 로봇이다. 단지 전역에는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셔틀인 ‘셔클’이 투입돼, 실시간 승객 요청에 따라 노선과 운행 시간이 자동 조정된다. 셔클은 현대자동차그룹의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교통 약자 지원과 단지 내 이동 효율 모두 높일 수 있다. 쇼핑 등 실생활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이 짐 운반, 배달, 커뮤니티 시설 안내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자 안면인식 등 첨단 인증 솔루션도 접목해 배송 사고를 예방한다.

 

안전 분야에서는 현대로템이 개발한 ‘무인 소방 로봇’이 적용된다. 해당 로봇은 고온과 유해가스 환경에서 자율 진입해 화재 대응 및 열화상 탐지, 인명 구조까지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자동차 관리 영역에는 ‘전기차 충전 로봇’이 스마트 충전을 맡고, 충전구 자동개폐·케이블 연결·화재 감지 및 이상 상황 실시간 알림 기능이 더해진다. 주차 공간은 현대위아의 ‘발렛 주차 로봇’이 차량 적재 및 이동을 자동화해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이러한 스마트 로봇 단지는 기존 아파트 단지와 비교해 실질적인 생활 편의성과 안전 수준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분석된다. 각 기술은 IoT와 AI의 실질 연동, 고도화된 로봇 플랫폼 등 최신 스마트시티 트렌드를 집약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두바이, 싱가포르, 캘리포니아 등에서 제한적 로봇 아파트 도입 사례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압구정2구역이 가장 앞선 종합형 로봇 스마트시티 모델이 될 전망이다.

 

다만, 로봇 운용에 따른 데이터 보호, 사생활 침해 우려, 로봇 안전 인증 및 관련 법규도 향후 과제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들은 AI·로봇 운영 데이터의 보호와 활용, 거주자 관리 동의 체계 마련, 안전기준 설정 문제 등이 단계적으로 논의돼야 “미래 주거의 표준”으로 확산할 수 있다고 본다.

 

전문가들은 이번 프로젝트가 도시 주거서비스에 기술·산업 구조 재편의 분기점이 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산업계는 로봇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이 실제 생활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현대건설#로봇스마트시티#압구정2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