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용자, 무단 소액결제 피해 278건”…차단 방법 관심 집중
KT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무단 소액결제 사고가 발생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KT 측은 고객센터와 홈페이지를 통해 휴대폰 결제 보안 차단 및 원천 차단 신청 방법을 안내하며 추가 피해 방지에 나섰다.
11일 KT는 공식 공지문을 통해 “현재까지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278건, 약 1억 7000만 원 수준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KT는 △기본 한도 차단(온라인, 한도 0원 설정), △보안 차단(ARS 인증 추가), △완전 차단(고객센터 신청 및 향후 앱 신청 가능) 등 단계별 차단 방법을 안내했다.

특히 ‘ARS 안심 인증’은 고객이 결제할 때 본인 인증 절차(PIN 번호 입력 등)를 추가해 보안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요금 부과와 별도로 추가 비용은 없다. 더불어 원천 차단 방식의 경우 신청 즉시 모든 소액결제가 영구적으로 중단되며, 명의자 본인만 가능하다.
KT는 9월 17일부터 공식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도 완전 차단 신청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확대할 방침이다. 한편, 완전 차단을 한 번 신청하면 해제가 불가능하지만, 이번 사고와 관련된 특수 상황에서는 추후 별도 해제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태에 대해 피해를 호소하는 고객들과 소비자단체들은 철저한 사고 원인 규명과 피해 보상, 근본적인 결제 보안 체계 점검을 촉구하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소액결제 시스템의 허점을 악용한 유사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며, 신속한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했다.
KT는 “고객님의 안전한 결제 환경을 위해 지속적으로 보안 강화에 힘쓰고 있다”며 “차단 신청이나 문의 사항은 100번 또는 전담 고객센터(080-722-0100)를 통해 24시간 상담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경찰 또한 무단 결제 경위 및 해킹 등 외부 침입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사고는 결제 시스템 신뢰성 강화와 개인정보 관리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