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협정 당일 끝까지 싸웠다”…故 김금득 하사, 72년 만에 외동딸 품으로 귀환
6·25전쟁 와중 치열했던 전선에서 산화한 故 김금득 하사의 유해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확인 결과 72년 만에 홀로 남은 외동딸의 품으로 돌아왔다. 군 당국이 밝힌 신원확인 사실은 전쟁과 이별, 희생의 상흔이 여전히 한국 사회를 울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지난해 11월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주파리 일대에서 발굴한 유해의 신원이 국군 제7사단 소속이던 김금득 하사임을 26일 오후 공식 확인했다. 김 하사는 1953년 1월, 가족을 뒤로하고 28세에 입대해 치열한 적근산-삼현지구 전투에 투입됐다. 그는 정전협정 당일이었던 1953년 7월 27일 중공군의 공격을 육탄 저지하는 과정에서 전사했다.

국군 제7·11사단이 중공군 4개 사단을 맞아 치른 적근산-삼현지구 전투는 강원도 철원 일대의 전선을 안정시킨 최대 격전으로 꼽힌다. 국가를 위해 몸을 던진 김금득 하사의 용기는 1963년 화랑무공훈장 추서로 뒤늦게나마 평가받았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이날 전북 익산 자택에서 유골 확인 행사를 열어 외동딸 김순임 씨에게 신원확인 통지서, 호국영웅 귀환패, 유품을 전달했다.
유가족의 가슴 아픈 기다림이 끝난 가운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000년 4월 사업 시작 이후 신원이 확인된 국군 전사자가 이번까지 총 259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호국영웅의 명예를 되살리는 노력이 계속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한편, 정부는 내년까지 강원도 철원·화천 등지에서 국가 차원의 유해발굴사업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정치권과 군은 미확인 전사자에 대한 발굴사업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