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팩토리 전문기업 선정”…미소정보기술, 제조혁신 역량 공식 인정
인공지능(AI) 기반 제조 혁신 기술이 산업계의 현장 경쟁력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멀티모달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미소정보기술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운영하는 ‘AI 팩토리’ 사업의 전문기업으로 25일 공식 선정됐다. 회사가 개발한 생성형 AI 및 데이터 기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이 제조 공정 자동화, 산업안전 등 실질적 적용 분야에서 국가적 기술 경쟁력의 분기점이 될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제조업 디지털 대전환’ 경쟁의 신호탄으로 해석하고 있다.
미소정보기술의 AI 팩토리 전문기업 선정은 2024년 출범한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의 후속 정책으로, 2025년부터 시행될 ‘AI 팩토리 얼라이언스’의 제조 혁신 기업 인증 사업의 일환이다. 이번 평가에서는 AI 자율제조 기술력, 실적, 시장 신뢰도, 성장 가능성, 데이터 활용 전략,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잠재력 등 복합적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

회사의 주력 플랫폼인 ‘스마트 IoT 프리즘’은 IoT(사물인터넷) 센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정제·분석·시각화하는 인공지능 기반 자율제조 및 산업안전 통합 시스템이다. 기존 데이터 시각화 플랫폼과 달리, 생성형 AI를 이용한 자연어 질의응답, 시계열 분석, 이상치 탐지, 데이터 통합관리, 맞춤형 시각화 등 고도화 기능을 제공한다. 롯데건설, 현대제철, 에코프로 등 주요 생산 기업 현장에서 이미 제조 효율성과 지속가능 경영에 실질적 변화를 일으켜 왔다.
특히 미소정보기술은 타사와 차별화된 두 가지 기술 축을 실현 중이다. 첫째, 국산 SoC(System on Chip) 기반 온디바이스 AI 웨어러블 기기를 직접 개발, 반도체와 전자부품 생산현장 인력의 안전성과 업무 신뢰도를 높였다. 둘째, 자사의 온톨로지(지식구조화) 기반 산업안전 및 위험성 평가 솔루션(세이프위)과 결합해, 건설·제조 현장의 중대재해 예방과 안전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는 점에서 모범 사례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AI와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제조업 중심 국가를 중심으로 현장 데이터 자동 수집과 AI 예측 시스템 개발, 산업안전 분야 AI 적용이 확산 추세다. 미국, 독일, 일본은 각국 제조로봇·IoT·클라우드 제공 기업들이 클라우드·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를 확대 중이며, 유럽 주요국도 산업안전 규제와 연계한 AI 기술 도입 가이드라인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산업단위의 AI 솔루션 실증과 확산에는 정부의 제도 지원과 현장 적합성 인증이 관건으로 꼽힌다. 국내에서도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기관이 AI 제조혁신 생태계 조성, 데이터 개방·표준화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데이터 보호, 현장 안전규제, 산업용 AI 기술 검증 체계도 점차 고도화되는 흐름이다.
전문가들은 미소정보기술과 같은 전문기업의 플랫폼 실증이 국내 ‘AI 제조혁신’ 신뢰도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한 산업기술평가 전문가는 “플랫폼이 실제 현장 데이터와 융합돼 효율성·안전성을 입증하면 제조업 경쟁력 전환점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AI 팩토리 선정이 디지털 전환 속도와 실질적 현장 혁신을 앞당길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