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소아 전신마취는 안전”…서울대, 인지·행동 발달 영향 없었다
짧은 시간 동안 이뤄지는 소아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지능과 행동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국내 대규모 임상 결과가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소아마취통증의학과 이지현·지상환 교수 연구팀은 생후 2세 미만 단회 수술 환자 400명을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분석한 결과, 약 2시간 이내의 전신마취가 두뇌 발달에 유의한 차이를 남기지 않는다고 밝혔다. 업계는 이번 연구를 소아 마취 안전 논의의 분기점으로 평가했다.
연구팀은 참여 환자를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대표적 흡입마취제인 세보플루란만을, 다른 그룹에선 세보플루란과 함께 신경독성이 적은 진정제(덱스메데토미딘), 진통제(레미펜타닐)를 함께 투약하는 이른바 ‘균형 마취’ 방식을 적용했다. 단일 약제와 병용 약제 투여, 즉 약물 조합과 농도를 조절하는 다양한 임상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이후 만 28~30개월에 비언어적 지능(K-Leiter-R)과 보호자 평가 행동·정서 검사(CBCL) 지표로 신경발달 상태를 추적했다.

분석 결과, 흡입마취제 단독군과 보조 약제 병용군 모두 인지 지수, 행동발달, 정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병용군에서는 약제 조합을 통해 흡입마취제 농도를 30% 가까이 낮췄으나, 신경 발달 결과에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실제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균형 마취 방식이 단기간 인지 및 정서 발달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며 “마취제 선택이나 용량 조절의 즉각적 신경학적 안전성에 추가 근거를 제시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전에는 일부 동물실험에서 흡입마취제가 신경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지적돼 왔고, 미국 FDA도 3세 미만 영유아의 장시간 마취 시 뇌 발달 위험성을 경고해 국제적 우려가 이어져 왔다. 그럼에도 임상연구에서는 단회·단시간 마취가 장기간의 인지 손상을 남긴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임상은 그간 뚜렷한 근거가 부족했던 약제 병용 마취, 특히 ‘균형 마취’ 방식의 단기 안전성을 실제 환자 데이터를 통해 밝혔다는 차별점이 있다.
해외에서도 마취 유무나 마취 방식별 안전성 비교연구가 다수 진행돼왔으나, 실제 병원 현장에서 사용되는 약제의 농도 및 조합 손익(損益)을 이처럼 대규모로 직접 검증한 사례는 드물었다. 업계 전문가들은 “향후 수술·중재적 시술 등에서 전신마취 필요성을 불안해하는 보호자들의 우려를 최소화하고, 안전 가이드라인 수립에도 실질적 밑거름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가 소아마취와 전신마취 시장에서 약제 선택, 임상 프로토콜 표준화 등 실무적 흐름에 반영될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소아 신경발달 섹터의 관련 제도 개선이나 약제 승인 심사 과정에도 일정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지현 교수는 “단회 전신마취의 단기 신경발달 영향에 대한 객관적 결과를 제시한 만큼, 향후 소아마취 안전지침 마련에 과학적 근거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술과 임상, 규제 간 균형이 소아의료 생태계 혁신의 전제조건으로 다시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