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대화 가능성 열려 있다"…대통령실, 한미 공조 유지 강조
한미 간 대북 정책 공조를 둘러싸고 대통령실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인사들이 북미 대화 가능성을 두고 새로운 국면에 맞닥뜨렸다. 북미 정상 간 조기 접촉 및 방한 일정이 오르내리며 정치권과 외교가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19일 미국 언론 CNN이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이 비공개로 북미 대화를 논의해왔다는 보도를 내놓은 데 대해 첫 공식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는 북미 대화를 포함, 대북 정책 전반에 관한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왔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언급은 최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이 접촉 가능성이 새롭게 부상하는 가운데 나왔다. 대통령실은 북미 대화를 둘러싼 구체적인 진전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향후 논의의 여지를 남겨두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앞서 18일(현지시간) CNN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미 정상회담 등 직접적 만남을 타진해 왔으나, 실제 성사에 필요한 구체적 준비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외교가에서는 정상급 회동의 진행 여부와 시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9일 1박 2일간 방한할 것으로 전망되며, 방문 형식이 '국빈 방문'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여기에는 무궁화 대훈장 수여 가능성도 언급됐다. 무궁화 대훈장은 상훈법에 따라 우방 국가 원수나 그 부인도 받을 수 있다. 2018년 문재인 전 대통령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게, 2023년 윤석열 대통령이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에게 각각 수여한 바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방한 시기와 맞물린 외교적 이벤트가 대북 메시지와 국제 외교 환경에 미칠 파장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내실 있는 방한이 될 수 있도록 일정과 예우에 대해 세심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결정은 신중하게 이뤄질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향후 한미, 북미 정상회담 추진과 맞물려 우리 정부의 대응 방향, 그리고 외교적 메시지가 어떠한 효과를 낳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한반도 및 동북아 외교 지형 변화에 대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