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KODEX 200 선물 인버스 순매수 1,111억”…개인, 증시 변동성 속 하락 베팅 확대

강예은 기자
입력

국내 증시의 단기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에 개인 투자자 자금이 급격히 유입되고 있다. 11월 10일 ‘KODEX 200 선물 인버스’에는 하루 만에 1,111억 원의 순매수가 몰려, 증시 하락에 베팅하는 심리가 크게 강화된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단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개인 투자자의 방어 심리를 주요 배경으로 꼽고 있다. 증시 방향성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면서 포트폴리오 조정이나 손실 회피 목적의 인버스 투자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연합인포맥스 집계에 따르면 10일 개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는 ‘KODEX 200 선물 인버스’로, 순매수 금액이 1,111억 원에 달했다. 이는 2위인 ‘TIGER 미국 S&P500’(321억 원) 대비 3.5배 이상 많은 규모다. 3위에도 ‘KODEX 인버스’가 291억 원 순매수를 기록, 상위권에 인버스 ETF가 두 자리를 차지했다.

‘KODEX 200 선물 인버스’ 하루 순매수 1,111억…증시 변동성에 인버스 ETF 급등
‘KODEX 200 선물 인버스’ 하루 순매수 1,111억…증시 변동성에 인버스 ETF 급등

인버스 ETF 상품은 코스피 등 국내 대표 지수가 하락할수록 수익률이 높아지는 구조로, 투자 전략상 하락장 방어 수단으로 활용된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증시가 강세를 이어가던 기간엔 투자자 관심에서 멀어졌다. 실제 11월 초까지 한 주간 개인 순매수 ETF 상위 10위 내에는 인버스 상품이 한 종목도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KODEX 200’과 ‘KODEX 레버리지’ 등 상승장에 베팅하는 상품이 상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11월 들어 코스피가 장중 6% 넘는 급락을 보이며 3,800대까지 밀려나는 등 단기 변동폭이 커진 이후 시장 분위기가 급변했다. 개인 투자자들은 증시 급락 가능성에 대비해 인버스 ETF 비중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최근 국내 시장은 외국인 매매 동향, AI(인공지능) 산업과 정부의 증시 부양 기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해제 여부 등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동요하고 있다. 증시 하락 위험을 직관적으로 방어하는 수단으로 인버스 ETF가 다시 집중 매수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단기 조정장에 베팅한 투자 확대가 향후 시장 변화에도 파급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다만 인버스 ETF는 단기 방향성 투자에 유리하지만, 시장이 반등할 경우 손실폭이 빠르게 커진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투자 전략이나 예측과 달리 상승장이 길어질 땐 투자자 피해가 가중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NH투자증권이 지난해 1~9월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남성 투자자의 수익률이 여성보다 낮았던 주된 배경도 인버스 ETF 투자 비중이 높았던 점으로 꼽혔다. 하락장에서 인버스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신중한 투자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향후 글로벌 매크로 변수와 코스피의 추가 변동성에 따라 인버스 ETF를 활용한 투자패턴이 계속될지 증시 참가자들의 관심이 커진다. 시장에서는 다음 주 미국 금리 결정 등 대형 이벤트가 투자심리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kodex200선물인버스#인버스etf#코스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