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AI 고평가 논란 속 저가매수세 유입”…미국 나스닥,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혼조세

조민석 기자
입력

현지 시각 14일, 미국(USA) 뉴욕증시가 전일 큰 폭 하락 이후 일부 기술주에 대한 저가매수세에 힘입어 혼조세로 마감했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0.13% 상승하며 22,900.59를 기록했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65% 하락한 47,147.4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05% 빠진 6,734.11로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은 인공지능(AI) 관련 기업들의 고평가 논란과 전일 급락 여파로 개장 직후 약세 흐름을 보였으나, 일부 투자자들이 최근의 주가 하락을 매수 기회로 삼으면서 주요 지수의 낙폭이 빠르게 제한됐다. 특히 AI 대표주인 엔비디아가 1.77%, 마이크로소프트(MS)가 1.37% 오르며 반등 장세를 견인했고, 팰런티어(1.09%), 오라클(2.43%) 등 AI 관련주들도 동반 상승했다.  

최근 월가에서는 빅테크 기업에 대한 AI 버블 및 고평가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빅 쇼트'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빅테크들은 AI 칩의 유효 사용기간을 지나치게 길게 반영해 이익을 과대 산정하는 분식회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우려를 더했다.  

이런 가운데 투자자들의 시선은 19일로 예정된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집중되고 있다.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칠 경우 AI 버블 논쟁에 불을 지피며 시장 전반의 변동성 확대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긴장감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리서치의 마이크 딕슨 퀀트전략 수장은 “엔비디아 실적 발표가 시장의 대형 이벤트가 될 것”이라며 “실적 부진 시 징벌적 주가 조정 가능성도 있지만, 저가매수 유입이 시장 안정을 뒷받침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와 CNBC 등 현지 주요 언론은 “AI 관련주에 대한 신뢰와 경계가 교차하며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엔비디아를 비롯한 AI 대장주의 실적, 그리고 빅테크 고평가 논란이 미국(USA) 증시 전반의 투자심리와 변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흐름이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에 어떤 파급효과를 낳을지 국제사회 역시 주목하고 있다.

나스닥, 저가매수세 유입에 0.13% 상승…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등락
나스닥, 저가매수세 유입에 0.13% 상승…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등락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엔비디아#나스닥#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