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미일 협력 중시”…이재명 대통령, 한일정상회담 선제 조율 강조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둘러싼 외교적 셈법이 다시 한번 부각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백악관에서 만난 가운데, 한일관계가 한미동맹에 주는 영향이 정상 차원의 회담 의제로 부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일 위안부 문제 등 아주 민감한 이슈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한일 관계에 각별한 관심을 드러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소인수 회담에서 “한미일 협력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미관계 발전을 위해서도 한일관계가 어느 정도 수습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일관계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응하면서 “과거의 일 때문에 한국과 일본이 잘 지내기가 어려운 것인가”라고 이재명 대통령에게 물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한일 양국 간 위안부 등 역사 문제의 민감성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께서 한미일 협력을 매우 중시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트럼프 대통령을 뵙기 전에 일본과 미리 만나 (트럼프 대통령이) 걱정할 문제를 미리 정리했다고 생각해주시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일본에 가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만났을 때, 우리가 갖고 있던 많은 장애요소가 제거됐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최근 한일정상회담을 통한 신뢰 회복과 현안 조율 노력을 부각했다. 그는 “한미일이 안정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일본과 사전 조율을 진행한 점에 주목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과거사 문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인 것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 동북아 안보 구도에서 한미일 삼각 협력의 결속을 재차 강조하는 배경에 국내 여론의 변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전포인트로 떠올랐다.
정부는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후속 협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교착되고 있는 한일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새로운 해법 모색에 나설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