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마크 복귀 시동”…안현수, 국가대표팀 코치 합류 추진→빙상계 파장
경쟁과 시련을 오가던 링크 위, 다시 한 번 국가대표의 상징인 태극마크가 안현수의 이름 앞에 다가섰다. 세계를 휩쓸던 그 기량, 수없이 엇갈렸던 여론 사이에서 새로운 역할의 무게를 감당해야 할 시간이 다가온다. 안현수 복귀를 둘러싼 얼음판 위의 정적이, 빙상계 전체에 잔잔한 파장을 내고 있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김선태 임시 총감독과 함께 국가대표팀을 이끌 쇼트트랙 코치 후보로 안현수를 집중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빙상연맹 관계자는 안현수에 대해 “세계 정상급 기량과 풍부한 국제대회 경험을 갖춘 인물로, 대표팀이 당면한 기술적·전략적 한계를 보완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안현수가 합류할 경우, 지난 2011년 러시아 귀화 이후 14년 만에 다시 태극마크를 달게 될 전망이다.

러시아 국적을 선택했던 안현수는 2022년 베이징올림픽 때 김선태 감독과 함께 중국 대표팀 지도 경험을 쌓는 등 국제무대에서 다양한 이력을 남겼다. 귀국 후에는 성남시청 빙상팀 코치직에 도전했으나, 과거의 귀화 과정과 연금 수령 논란, 베이징올림픽 당시의 행보 등이 공론화되면서 여론의 벽을 다시 한번 실감해야 했다. 빙상연맹의 코치 합류 추진이 현실화될 경우, 찬반 논쟁과 더욱 복잡한 여론이 불가피해졌다.
당장 대표팀 내에서도 인사 조치에 불복한 전임 지도진이 법적 대응을 예고하는 등 불안요소가 산재해 있다. 김선태 임시 총감독 또한 평창올림픽 시절 선수단 관리 소홀 문제로 내려진 징계 이력이 다시 주목받는 등, 내부 갈등도 팽팽히 맞선 상황이다. 안현수는 러시아 귀화 시 수령한 연금을 기부했다고 밝혔지만, 빙상계와 팬들의 온도차는 쉽사리 좁혀지지 않고 있다.
빙판 위로 번지는 논란과 기대가 교차하는 한편, 대한민국 쇼트트랙의 새로운 미래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안현수의 코치 합류를 둘러싼 결정이 미칠 파장과, 빙상연맹의 향후 행보는 많은 이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차가운 얼음판 너머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이들의 모습. 각자의 선택과 상처를 품고 달렸던 시간 위로, 무게 있는 결정의 순간이 다가온다. 쇼트트랙 국가대표팀의 진로와 안현수의 코치 복귀 소식은 오는 시즌을 앞둔 빙상 팬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