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대응 집배원 안전 관리”…과기정통부, 현장 점검 강조
기록적인 폭염이 전국을 강타하면서 사회 각계의 폭염 대응이 중요한 이슈로 떠올랐다. 산업 현장의 근로자뿐 아니라 공공서비스를 담당하는 인력의 안전 보장이 핵심 과제로 대두된 가운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우체국 집배원의 근무 현장을 직접 찾아 폭염 대응 상황과 안전 대책을 점검했다.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최근 현장 방문에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구체적 조치와 응급 대응 체계 마련 등, 실질적인 근무환경 개선에 중점을 둔 조치들이 집중됐다. IT·바이오 융합 산업은 디지털 기반의 자동화와 원격 관리로 열악한 업무환경 개선 가능성을 꾸준히 모색해왔지만, 집배·우편 업무처럼 현장성이 강한 영역에서는 여전히 사람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배 장관은 서울 영등포우체국을 방문해 여름철 온열질환 예방 및 안전사고 방지 실태를 꼼꼼히 살폈다. 현장 점검에서는 냉방장구 비치, 충분한 휴식시간 확보, 집배원 스스로의 ‘업무정지권’ 행사 권장 등 안전중심 관리의 필요성에 방점이 찍혔다. 실제로 메일 소포 상하차 체험과 집배원 간담회를 통해 업무 현장의 애로사항이 구체적으로 진단됐다.

우정사업본부는 집배원 노동자의 생명·안전 보장을 산업재해 예방의 최우선 정책으로 삼고, ‘여름철 작은 배려, 큰 안전’ 등 대국민 캠페인을 통해 배달지연에 양해를 구하는 등 사회적 공감대 확산에 나섰다. 이는 노동현장에서의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자 하는 정부 기조와 맞닿는다. 특히 업무정지권 등 근로자의 자율적 안전권 행사 권장 방침이 강조된 점이 특징이다.
글로벌 사례를 보면 일본・유럽 등 선진국 우편서비스 역시 무더위나 한파 등 기후 위험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화 차량 배치, 실시간 IoT 센서 활용 안전관리 확대 등 ‘디지털화와 현장 안전’의 조화를 모색 중이다. 반면 국내는 우편 네트워크 특성상 더욱 촘촘한 직접 전달이 강조되고 있어 산업재해 예방과 원활한 우편서비스 제공 간 고도의 균형점 마련이 과제로 남아있다.
당국은 향후 산업재해 사고 및 온열질환 대응 강화를 위해 정부와 현장 조직의 소통을 확대하고, 우편서비스 디지털화 등 실질적 혁신 방안을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현장 근로자 안전을, 장기적으로는 자동화·디지털 전환 등 바이오·IT 융합기술 접목 전략이 한국형 공공서비스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필수적 요건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과 제도적 개선 노력이 실제 근무환경 안전에 뿌리내릴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현장 안전, 노동권 보호가 균형 잡힌 새로운 시스템으로 자리잡을 때 산업의 미래 경쟁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