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입국 불이익 최소화 총력”…조현 외교부 장관, 워싱턴 기업인 간담회
미국 조지아주에서 한국 국민 구금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정치적 관리와 외교적 파장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9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진행한 한국 기업인 간담회에 참석해 비자 발급 등 최근 드러난 한미 간 이슈에 정부 대응 의지를 강조했다. 미국 내 한국 투자 기업과 관련된 비자문제, 그리고 구금된 우리 국민의 조속한 귀국을 두고 정국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조현 장관은 이 자리에서 “정부는 조지아주에서 구금된 국민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귀국시키고, 향후 미국 재입국 과정에서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 정부의 단속으로 불거진 비자정책 불확실성과 관련, 장관은 “기업인들이 겪는 비자민원 등을 이미 미측에 전달했고, 모든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한미 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대표들은 특히 한국인 전문인력에 대한 별도 비자 쿼터(E-4 비자) 신설, 투자기업 고용인 비자(E-2 비자) 승인율 제고 등 대미 전략 투자에 필요한 제도 개선을 적극 건의했다. 아울러 단기상용비자(B-1 비자) 운용·적용과 관련해, 미국 국무부 뿐 아니라 국토안보부 등 관련 부처의 동일한 가이드라인 적용 필요성도 강조됐다. 기업들은 “강력하고 명확한 기준이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고 주문했다.
이에 조현 장관은 한국 정부가 E-4 비자 쿼터 신설을 위한 '한국동반자법' 입법을 추진 중임을 알리고, 한국 기업인의 비자 문제 해소와 미국 내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 미 행정부·의회와 여러 채널로 협의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비자 신청 안내 등 실무 지원 방안도 적극 시행했다고 덧붙였다.
주요 기업인 LG, 현대자동차, 포스코, 삼성전자, 한화큐셀, 한화디펜스, SK, 대한항공 등과 한국무역협회(KIT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 경제단체 관계자들이 이날 간담회에 참석했다. 현장에서는 실무 애로와 함께 한국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외교적 대응 필요성이 재차 제기됐다.
조현 장관은 이어 주애틀랜타총영사관과 조지아주 포크스톤 구금센터 인근의 현지 외교부 현장대책반과 화상회의를 연결, 한국 국민의 안전귀국 준비실태를 점검했다. 조 장관은 “구금 국민이 안전하게 돌아올 때까지 총력을 다하라”며 현지 당국과도 긴밀 협의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현지시각 10일 오후, 구금된 국민들이 전세기를 통해 귀국길에 오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현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향후 유사 사태 재발 방지와 한국 기업의 안정적 활동 기반 조성을 위해 비자정책 개선 등 추가 대응을 검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