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기후에너지부 신설 좌초”…민주당의 호남 유치 약속, 전남 실망감 확산
정치

“기후에너지부 신설 좌초”…민주당의 호남 유치 약속, 전남 실망감 확산

신민재 기자
입력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둘러싼 전남도와 정치권의 기대가 정부 조직개편안 확정에 따라 물거품이 됐다. 정치적 공방과 책임론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역 민심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8일 전남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전날 검찰청 폐지와 함께 환경부를 ‘기후환경에너지부’로 확대 개편하는 조직개편안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 분야가 환경부로 이관되고,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명칭이 ‘산업통상부’로 변경된다. 기후에너지부 신설 계획은 사실상 백지화됐다.

전남도는 재생에너지 자원을 앞세워 나주 등 광주·전남 혁신도시에 기후에너지부를 유치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6월 입장문에서 “전남의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전국 16%에 달하며, 한전과 전력거래소가 소재한 에너지수도로서 기후에너지부 유치가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에너지 기본소득, 주민참여형 사업, 이익공유제 등도 내세웠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전남의 유치 의지에 힘을 실었다. 지난달 민주당 호남발전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정청래 대표는 “이재명 대통령이 289만 표 차로 당선됐고, 그 중 92%가 호남에 기반을 뒀다”며 “특별한 희생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대통령 국정철학을 강조했다. 민주당은 특위 출범과 함께 기후에너지부 호남 유치를 명확히 약속해 전남 혁신도시의 기대를 키웠다.

 

그러나 정부의 최종 조직개편안에 기후에너지부 ‘신설’이 아닌 환경부 내 ‘흡수’가 확정되면서, 전남도와 지역사회는 허탈함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나주 시민 김모씨는 “민주당이 호남에 표시 나게 지원하겠다고 밝혔기에 기대가 컸다”면서 “정권교체에 기여한 전남이 다시 소외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전남도 관계자 역시 “개편안 준비 과정에서 환경부 확대 얘기는 들었지만, 상황이 이렇게 될 줄 몰랐다”며, “2차 공공기관 이전 가능성 등에 대비해 국회 논의 과정에서 유치 방안을 계속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여권의 지역 공약 실현 의지, 민주당의 약속에 대한 지역 신뢰도 등도 정치적 쟁점으로 떠올랐다. 당초 호남의 표심을 겨냥한 특별한 보상론이 무색해지면서, 정치권의 책임 공방과 지역민의 반발이 앞으로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정치권은 앞으로 국회 논의와 추가 조직개편 가능성을 주시하며, 유치 방안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신민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민주당#기후에너지부#전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