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애 혁명서사 완성 과정”…국정원, 김정은 방중 동행 의도 분석
북한 후계 구도를 둘러싼 신호전이 뚜렷해지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9월 1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최근 방중에 동행한 목적에 대해 “유력 후계자 입지 강화를 위한 혁명 서사 완성과 연동된다”고 보고,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상세히 설명했다. 중국 대사관에 머물며 외부 노출을 자제한 김주애의 움직임은 비공개 전략으로 해석되나, 동시에 후계자 상징성을 부각한 계기로 평가된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 “김주애는 방중 기간 대사관에 머물며 외부 출입을 자제했고, 귀국 시 전용 열차에 미리 탑승, 언론 노출을 회피했다”고 보고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력 후계자 입지에 필요한 혁명 서사가 충분히 확보된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역시 이번 방중을 통해 북중러 3국 연대와 정상 국가의 모습 발신에 성과를 거뒀다고 국정원은 평가했다.

정치권에서는 김주애 방중의 의미와 함께 북한 지도층 내 자녀 동향에도 관심이 집중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과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회의 종료 후 “김주애 외에 다른 자녀의 존재, 유학설, 장애설 논란과 관련해 국정원은 유학 가능성을 낮게, 장애설도 신빙성 없다고 봤다”고 전했다. 이들은 “유학의 경우, 존재를 숨기더라도 새로운 정보가 드러날 수밖에 없다”는 국정원 설명을 전하며 근거를 보탰다.
건강 이상설 관련 문의도 이어졌다. 국정원은 “김정은 위원장이 행사 전체 일정을 특별한 문제 없이 소화해 건강에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다만, “가끔 고도비만으로 땀을 흘리거나 숨이 가쁜 모습이 있으나 심박, 혈압 등 신체지표는 정상범위”라며 건강 악화설은 일축했다.
특히 북한 당국이 김정은 위원장과 김주애의 신상·생체정보 보호에 각별히 신경 쓰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국정원은 “북한 대사관 투숙 및 특별기 활용으로 행사 물자·폐기물 운송까지 철저히 통제했다”며 외부 노출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의 성과에 자부심을 갖고 있다”며 “정상 국가 지도자의 이미지는 물론, 북한 후계체제 상 ‘혁명 서사’ 마련에 방점을 찍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회는 김주애의 후계자 행보, 김정은 건강, 북한 자녀설 등을 두고 다양한 해석과 관측이 제기됐으며, 정치권과 정보 당국의 분석은 앞으로 북한 정세 변화의 중요한 단서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위원회는 북한 지도부 동향에 대한 점검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