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로 마비된 정부 전산망”…윤호중, 대응 총력전 선포
정부 전산망 화재가 국가 IT기반의 근간을 흔들면서, 중앙 행정 전산시스템의 취약성과 복구 체계가 산업·정책 양 측면에서 조명을 받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중심이 돼, 물리적 인프라 보호와 정합성 높은 복구 과정, 아울러 AI 기반 정보시스템 혁신 방안까지 병행 추진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디지털 정부 인프라의 전환점’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9월 26일 발생한 화재로, 다수 국가 정보 시스템이 한때 마비되며 국민 불편이 컸다. 14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회 국정감사 인사말을 통해 “가능한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장애 복구에 집중하겠다”며 신속한 정상화 의지를 표명했다. 행안부는 재해 복구 여건, 국민 영향도, 데이터 보전성을 고려해 최적의 복구 방식을 적용 중이며, 향후 재발 방지책과 시스템 관리체계 전면 재설계를 예고하고 있다.

핵심은 정보시스템 이중화와 백업 통합 운용, AI 기반 자동 감시·예측 진단 체계로의 업그레이드다. IT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화재가 기존 단일화된 전산 인프라 구조의 맹점을 노출했다고 분석한다. 윤호중 장관도 “공공부문 AI 공통기반 구축을 가속해, 전산망 대응의 자동화·지능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장애 상황 발생 시 실시간 복원 시나리오 자동 실행, 공격·사고 탐지 AI가 산업 표준이 될 가능성도 있다.
장애 복구가 완료되면 정보시스템의 신뢰도와 보안성을 동반 강화하는 신규 관리체계를 도입할 전망이다. 나아가 행안부는 AI 민주정부 인프라 등의 구축을 통해 기존 시스템 운영 효율, 재난 대응력, 국민 서비스 품질 모두 ‘질적 도약’을 노린다는 입장이다.
국내에서는 민관이 협업해 정보시스템 재설계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클라우드 전환·엣지 컴퓨팅·실시간 이중화 등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 중이다. 미국 등 주요국은 이미 정부 데이터센터의 분산 운용, AI 기반 유지보수, 전방위 침해 대응 체계를 병행하고 있다. 국내외 사례 모두, 단일센터 집적 방식에서 입체적 위험 분산 전략으로 진화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번 전산망 장애 사례는 국가 정보 인프라에 대한 위험평가 강화, 법·제도상 정비를 거쳐 공공분야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맞물려 추진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적 고도화만큼 정책적 운용 프로세스 개선, 현장 대응력 확충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업계는 대내외 기술·정책 환경 변화에 걸맞은 정보 인프라 관리 혁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